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홍콩증시 입성하는 중국 훠궈 대표주자 하이디라오, 올해 200개 지점 추가 기대

기사입력 : 2018년08월22일 10:54

최종수정 : 2018년08월22일 18:04

친절한 서비스로 중국 요식업계 수준 높인 하이디라오
치열해진 훠궈시장 경쟁, 지점 확대로 승부수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21일 오후 4시2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중국 대표 훠궈(火鍋, 샤브샤브) 업체 하이디라오(海底撈)가 9월 10일 홍콩 증시에 입성한다. 자금조달을 통해 공격적으로 매장을 확대해 훠궈 강자 자리를 보다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 이슈와 함께 중국 요식업 문화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평가받는 하이디라오의 성공 비결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서비스로 승부, 중국 고급 훠궈식당의 대명사 하이디라오

1994년 쓰촨(四川)성에서 시작한 하이디라오는 특정 조리법이나 재료가 아닌 기업 문화와 서비스로 중국 요식업계에서 살아남은 기업으로 꼽힌다.

중국 요식업계 매출 비중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훠궈는 진입장벽이 낮아 경쟁이 치열하기로도 유명하다. 훠궈에 사용되는 식재료는 수백가지에 달할 정도로 다양한 반면, 조리법이 간단해 누구나 창업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 아이템이 인기를 끌면 다른 식당들도 금세 조리법을 따라 할 수 있다.

하이디라오 훠궈탕 [사진=다중뎬핑]

아직 중국 요식업계에 고객에 대한 서비스 문화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 장융(張勇) 하이디라오 창업자는 고객을 왕처럼 대하는 서비스로 승부를 내기로 했다. 직원들은 항상 미소 짓는 얼굴로 손님의 요구사항을 해결하고 화장실에서는 직원이 직접 물수건을 나눠주는 한편 대기 손님에게는 서비스 음료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장융 CEO는 다른 식당보다 하이디라오 직원들의 월급을 50% 이상 높게 지급하고 제대로 된 아파트를 직원 숙소로 제공하면서 직원 교육에 집중했다. 또한 말단 서빙 직원도 상황에 맞춰 고객에게 서비스 메뉴를 무료로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직원들의 사기를 높였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고객들은 예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서비스에 열광하며 입소문을 냈고, 2시간씩 줄을 서서라도 하이디라오 훠궈를 먹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경쟁사들 역시 하이디라오와 동일한 서비스를 시도했으나, 직원교육에서 차이를 드러내며 경쟁에 실패했다.

조금 가격은 비싸더라도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식당 문화를 만들기 위해 꺼내든 또 하나의 카드는 ‘면 뽑기 쇼’다. 수타면을 주문하면 테이블 옆에서 면을 늘려 뽑아내는 공연을 선보인다. 면 뽑기 쇼는 한국 하이디라오를 포함한 전 세계 매장에서 공동으로 시연하고 있다.

승승장구하던 하이디라오도 2012년 위생문제가 불거지면서 심대한 타격을 입었다. 몇몇 지점의 주방 조리기구 청결 상태가 불량하고, 쥐가 나온다는 소식이 퍼지면서 “프리미엄 서비스를 표방한 하이디라오도 다를 바 없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이에 하이디라오는 변명하지 않고 곧바로 사과문을 공개하고 잘못을 시인하는 정공법을 택했다. 문제가 발생한 베이징 진쑹점(勁松店) 등 2개 매장에 대해서는 “근본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영업하지 않겠다”고 밝힌 뒤 1달 넘게 영업을 중단했고, 식당 인테리어 공사를 시행했다.

올해 6월 베이징 진쑹점의 훠궈 소스에서 파리가 발견되면서 위생 논란이 재점화했다. 사실 파리가 발견된 것이 온라인에서 이슈가 될 사안까진 아닐지 모르나, 하이디라오측은 즉각 성명을 통해 “대로변에 위치한 진쑹점에서 위생 안전 문제가 발생했다”며 다시 영업을 중단했다.

또한 하이디라오는 매월 전 지점을 대상으로 위생점검을 시행하고 쥐가 발견되는 등의 부정적인 면까지 낱낱이 공개함으로써 고객들에게 오히려 ‘신뢰할 수 있는 식당’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다.

발 빠른 위기대처 능력과 친절한 서비스 덕분에 하이디라오는 지난해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프랜차이즈 음식점에 선정되기도 했다.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하이디라오 훠궈 소스 [사진=바이두]

◆ 공격적인 지점 확대, IPO로 해결 계획

중국 신랑재경(新浪財經)은 하이디라오의 홍콩거래소 상장일이 9월 10일로 확정됐다면서 “지난 5월 IPO 신청서 제출에 이어 상장 준비가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하이디라오가 지난 2012년에도 상장 가능성을 밝힌 뒤 곧 취소했었으나, 올해엔 상장을 통한 외형 확장에 나설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하이디라오는 지난해 98개 지점을 열어 전체 지점 수를 273개로 확대했고, 올해엔 다시 약 200개 지점을 추가할 예정이다. 덕분에 매출액도 2016년 78억위안에서 2017년 106억위안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투자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부채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했다. 2017년 하이디라오의 유동부채는 11억6000만위안으로, 전년비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매출 대비 순이익률은 12.5%에서 11.2%로 하락했다.

투자회사 구이런즈번(貴人資本)의 량위안(梁淵) 총재는 신징바오(新京報)에서 “자금조달이 시급한 하이디라오가 상대적으로 상장이 용이한 홍콩을 택했다”며 “최근 투자 확대로 인해 하이디라오의 재무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다”고 말했다.

하이디라오는 지난 5월 상장신청서에서 “모집 자금의 15%를 대출 상환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또한 나머지 자금은 대부분 지점 확대를 위한 투자에 사용하고, 해외 지점 확대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하이디라오는 한국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 진출해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훠궈시장의 브랜드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하이디라오가 무리하면서까지 매장을 넓히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이디라오의 경쟁사로 꼽히는 유명 훠궈 체인 샤부샤부(押哺押哺, 00520.HK)는 지난 2014년 홍콩에 상장한 뒤 투자를 지속해 현재 700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요리협회는 “훠궈는 다른 음식에 비해 조리가 어렵지 않아 배달시켜 먹기도 용이하고, 1~2명이 간편하게 즐기는 개인식 훠궈도 인기를 끌고 있어 규모 확대가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분석했다.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