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2017년 중국인의 일상과 비즈니스 생태계 바꾼 5대 신경제

기사입력 : 2018년01월03일 14:47

최종수정 : 2018년01월03일 18:36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5대 신경제 O2O배달, 공유자전거, 2차원문화, 쇼트클립, e스포츠 유행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28일 오후 6시04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백진규 기자] 2017년 한 해 중국에선 O2O배달 공유자전거 2차원문화 쇼트클립 e스포츠 를 중심으로 한 신경제(新經濟)가 유행하면서 중국인들의 일상을 변화시켰다. 특히 중국의 20, 30대 80허우(80後, 80년대생) 90허우(90後)들은 인터넷 모바일 IT 신기술에 의한 신경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주도하는 집단으로 떠올랐다. 2017년 중국 경제 사회와 중국인 생활을 바꾼 5대 신경제를 소개한다.

◆ O2O배달

2017년 중국에선 방콕남(宅男) 방콕녀(宅女) 등 신조어와 함께 집에 머무는(宅) 문화가 유행하면서, 대학생과 젊은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O2O(온·오프라인 결합)배달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이관(易觀)이 지난 9월 발표한 ‘중국 O2O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중국 O2O산업 거래 규모는 전년비 85.7% 증가한 4431억위안에 달했다. 이관은 올해 하반기 O2O 거래량이 더욱 빠르게 증가해, 2017년 전체 거래액이 1조346억위안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조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음식 주문 비중에서는 중국식 패스트푸드가 73.6%로 1위를 차지했다. 햄버거 피자 등 서양 패스트푸드는 2위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맛과 함께 영양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중국식 패스트푸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전에는 반드시 식당을 찾아야 했던 훠궈(火鍋) 룽샤(龍蝦) 등도 O2O로 즐길 수 있다.

기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던 O2O기업들도 빠르게 재편되는 분위기다. 지난1년간 1000개가 넘는 O2O기업들이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뒤 시리즈B 투자유치에 실패해 문을 닫은 것으로 집계됐다.  

2017년 상반기 기준 메이퇀뎬핑(美團點評)은 주문액 1713억위안(시장점유율 38.7%)으로 업계 1위를, 커우베이(口碑)는 1670억위안(시장점유율 37.7%)으로 2위를 차지하며 사실상 시장을 양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유자전거

‘중국 신(新) 4대발명’ 중 하나인 공유자전거는 2017년 한해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을 가장 크게 변화시킨 아이템으로 꼽힌다.

중국 네티즌들은 공유자전거가 ‘최후의 1km’ 문제를 해결했으며, 앞으로도 이용자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목적지 근처까지 이동한 뒤, 다시 공유자전거로 이동시간을 단축하는 생활방식은 이미 중국 젊은이들의 일상생활에 깊이 스며들었다.

2017년 11월 기준 중국 공유자전거 활성이용자 수는 2500만명에 달한다. 그 중 업계 1, 2위를 다투는 오포(ofo)와 모바이크(摩拜單車)의 활성이용자가 200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유자전거 열풍이 과해지면서 여러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무분별하게 방치된 자전거들이 교통을 방해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자, 일부 도시에선 넘쳐나는 자전거들을 일괄 수거해 공터에 묶어놓기도 했다. 12세 소년이 자물쇠가 열려있는 공유자전거를 이용하다 버스와 충돌해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무분별하게 방치된 공유자전거 <사진=바이두>

지난 8월 중국 국무원 공안부 등은 공동으로 ‘공유자전거 지도의견’을 발표해 ▲자전거 위치확인 ▲주차관리 ▲실명제관리 ▲이용연령 제한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공유자전거 시장이 무분별한 경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앞으로 인수합병 등을 통한 업계 재편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일부 공유자전거 업체는 고객의 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한 채 파산하기도 했다.

◆ 2차원문화(二次元文化)

상하이 하츠메니쿠 공연 포스터 <캡쳐=바이두>

2017년 11월 25일, 상하이 신국제박람중심에서는 일본 가상 아이돌 캐릭터 하츠네미쿠(Hatsune Miku)의 10주년 콘서트가 열렸다. 실존하지 않는, 화려한 홀로그램으로 재현된 하츠네미쿠의 콘서트를 보기 위해 중국 팬들은 비싸게는 1480위안(24만원)의 입장권을 망설임 없이 구입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비주류 문화’로 취급 받던 2차원(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소설 등 존재하지 않는 현실을 주제로 한 콘텐츠)문화가 새로운 산업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다. 가상의 평면적 세계(2차원)가 실생활(3차원)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아이리서치에 따르면 90허우 00허우를 중심으로 한 2차원문화의 마니아 수는 2014년 4984만명에서 2017년 8000만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빌리빌리(bilibili) 등 중국 동영상 사이트에는 2차원 왕훙(網紅, 인터넷 스타)이 등장해 새로운 공유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중국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대기업들도 콘텐츠 변화에 맞춰 투자를 유치하고 만화 동영상 플랫폼을 재정비하고 나섰다.

스마트폰 전자상품 게임 명품 등 광고와 마케팅에서도 2차원문화의 영향력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샤오미(小米)는 올해 2월 ‘홍미노트4X 하츠네미쿠에디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2차원문화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 쇼트클립(短視頻)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제작하는 쇼트클립(짧은 동영상)이 중국 네티즌들의 소셜네트워크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이미 녹화된 영상을 압축적으로 편집하는 쇼트클립은 어느새 온라인 개인방송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기존 개인방송은 보통 생중계를 통해 현장감을 극대화시키는 반면, 내용의 긴장감이 떨어지고 영상 길이가 너무 길다는 점이 단점이었다. 하지만 쇼트클립은 짧은 시간에 완성도 높은 영상을 즐길 수 있고, 누구나 편하게 촬영할 수 있다.

쇼트클립 앱 더우인(틱톡) 실행화면 <사진=바이두>

업계에 따르면, 2017년 6월 기준 중국 쇼트클립 이용자 수는 약 1억9000만명으로 1월보다 약 1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먀오파이(秒拍) 등 기존 개인방송 플랫폼들도 쇼트클립 편집 기능을 강화하면서 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콰이서우(快手) 시과스핀(西瓜視頻) 더우인(抖音, 틱톡) 모모(陌陌) 등 주요 쇼트클립 플랫폼들은 뉴스, 소셜네트워크 등 각기 세분화된 콘텐츠로 플랫폼을 재편성하고 있다.

특히 영상을 올린 뒤 실시간 댓글을 통해 이용자간의 소통을 극대화하면서, 모든 온라인 콘텐츠에 쇼트클립이 적용되고 있다.

광고, 전자상거래, 정기구독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통해 업체 수익도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은 콘텐츠를 유료로 사용하는데 대한 거부감이 낮아, 쇼트클립 플랫폼 회원 수도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 e스포츠

온라인 게임을 전문 직업으로 하는 프로게이머 수가 5만명을 돌파하면서, 2017년 중국 e스포츠도 전성기를 맞이했다.

아이리서치는 2017년 중국 e스포츠 시장 규모가 지난해보다 85.3% 증가한 799억6000만위안에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e스포츠 시장 규모는 1년새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2003년 중국 국가체육국에서 e스포츠를 제 99번째 정식 체육 종목으로 인정할 때만 해도 아직 e스포츠는 시간낭비라는 사회적 편견이 강했었다. 그러나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롤(LOL) 배틀그라운드 등 게임이 지속적으로 유행하면서 e스포츠에 대한 인식도 빠르게 개선됐다.

e스포츠 LOL 대회 중개장면 <사진=바이두>

2016년 중국 교육부는 ‘e스포츠관리’를 정식 학과로 인정해 프로게이머 등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섰다. 이와 함께 중국 네티즌들은 ‘올림픽에서 e스포츠를 정식 종목으로 채택해야 한다’며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올해 중국 e스포츠에서 가장 핫한 게임은 배틀그라운드였다. 배틀그라운드는 전세계에서 2000만장이 판매될 정도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으며, 전세계 유저의 40%가 중국 게이머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배틀그라운드 개발사인 펍지 주식회사는 11월 텐센트와 중국 서비스 계약을 채결, 앞으로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과 PC방 등을 활용해 중국 내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배틀그라운드 게임에서 승리하면 나오는 멘트 “이겼닭! 오늘 저녁은 치킨이닭! (大吉大利,晚上吃雞)”는 올해의 중국 유행어로 꼽혔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노벨문학상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누구?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올해 노벨문학상은 헝가리의 소설가이자 각본가인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한림원은 9일 오후 8시(한국 시간)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71)를 올해의 수상자로 호명했다. 한림원은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가 "종말적 공포의 한가운데서도 예술의 힘을 재확인시키는 강렬하고 예지적인 작품 세계"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헝가리 작가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 [사진 = 노벨상위원회] 2025.10.09 oks34@newspim.com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헝가리 현대문학의 거장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들은 난해한 문체와 종말론적인 테마로 유명하다. 1954년생인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대학에서 법학과 헝가리문학을 전공하면서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대학졸업후 전업 작가의 길을 택한 그는 1985년 데뷔작인 '사탄탱고'로 문학성을 인정받으면서 명성을 얻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몽골, 중국에서 거주했으며 '저항의 멜랑꼴리'와 '전쟁과 전쟁'을 발표한 이후 미국, 스페인,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생활해왔다. 2015년에는 헝가리 최초로 맨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했고,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의 한 사람으로 거론돼 왔다. '파멸''사탄탱고''런던에서 온 사나이''토리노의 말'등 각본을 쓰기도 했다. 수전 손택은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현존하는 묵시록 문학 최고 거장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사탄탱고'는 공산체제 하에서 무기력하고 비참하고 곤궁하게 살아가는 인간 군상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oks34@newspim.com 2025-10-09 20:47
사진
'국정자원 화재' 1등급 복구율 62.5%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시스템이 709개로 정정됐다. 화재로 멈춘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차장은 9일 브리핑을 통해 화재 관련 상황과 복구 진행현황을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2025.10.09 photo@newspim.com 브리핑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인 엔탑스(nTOPS)의 데이터가 복구돼 대전센터의 전체 시스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부처와 확인 과정을 거쳐 시스템 목록을 709개로 확정했다. 기존에 정부가 공지한 647개에서 62개가 추가된 것이다.  이는 우체국금융, 공직자통합메일과 같은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세분화돼 시스템 수가 증가했고, 온나라문서 시스템은 기관별로 있던 목록이 정부업무관리시스템으로 통합되는 등 목록 변화에 따른 것이다. 현재 목록의 등급별 시스템 수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다.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시스템은 이날 12시 기준으로 193개(27.2%) 시스템이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 40개 중에서는 25개(62.5%)가 복구돼 운영 중이다. 또 이달 말까지 도입 예정이던 장비를 연휴 중 도입해 현재까지 서버 90식, 네트워크 장비 64식 등 198식의 전산장비를 신규로 도입했다. 중대본은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15일 이후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분진 및 화재 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의 시스템은 소관 부처와의 협의 및 세부 검토를 거쳐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할 예정이다. 김 차장은 "5층의 시스템 전체를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것보다 대전센터에서 신속히 장비를 수급하여 복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기술적 판단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대전센터는 5전산실 및 6전산실에 신규장비를 설치해 시스템을 복구하고,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와 소관부처 간의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조속히 이전할 계획이다. gdy10@newspim.com 2025-10-09 14:4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