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산업

속보

더보기

텐센트 알리바바, 중국 기업용메신저 시장서 용쟁호투

기사입력 : 2016년04월19일 16:32

최종수정 : 2016년04월19일 16:36

텐센트 기업위챗으로 알리바바 딩토크에 '맞불'

[뉴스핌=이지연 기자] 텐센트, 알리바바 등 중국 IT 대기업들이 기업용 메신저 시장을 둘러싸고 치열한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알리바바가 딩토크(釘釘 딩딩)를 출시한 데 이어 위챗(웨이신), QQ로 유명한 텐센트가 최근 기업위챗(企業微信)을 출시, 기업용 메신저 전쟁에 합류했다.

그동안 PC·모바일 메신저 분야는 텐센트의 ‘텃밭’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알리바바는 거액을 투자해 ‘라이왕(來往)’이라는 메신저를 출시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고, 이후 심혈을 기울여 기업용 메신저 딩토크(DingTalk)를 출시, 그동안의 SNS 분야 부진을 만회했다.

알리바바 딩토크는 출시한 지 1년도 안돼 가입 기업수 100만, 가입자수 500만, 일일 사용자수(DAU) 100만을 돌파하며 기업용 메신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알리바바 딩토크(딩딩) <사진=바이두>

기업용 메신저에 대한 IT 대기업의 신경전은 굉장히 치열하다. 지난 3월 선전에서 열린 IT리더서밋에서 마화텅(馬化騰) 텐센트 회장은 “기업용 메신저는 오랜 시간을 두고 키워야 한다”며 “홍보성 보도자료에 의지해서는 잘 될 수가 없다”고 딩토크 돌풍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가했다.

IT리더서밋에 함께 자리한 양위안칭(楊元慶) 레노버 회장은 마화텅 회장에게 “내가 보기에 기업용 메신저는 무척 중요하다. 알리바바 딩토크가 이 분야에서 잘 나가고 있지만 아직 독점체제를 구축하진 못 했다”며 텐센트도 기업용 메신저 분야에 진출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이어 리옌훙(李彥宏) 바이두 회장 또한 기업용 메신저의 높은 성장 잠재력에 주목, 바이두도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히며 레노버와의 협력 의사를 피력했다. 이는 향후 기업용 메신저 분야에서도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3강 체제가 구축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한편 알리바바도 가만히 당하고만 있지는 않는 모습이다. 텐센트 본사 근처 지하철역 50m 길이 통로 양측은 온통 딩토크 광고로 도배되어 있다. 게다가 광고카피는 “XX으로 회의하면 시간낭비랍니다. 그래서 늘 야근하는 거예요”로, 광고 배경은 누가 봐도 텐센트 모바일 메신저 위챗이다.

앞서 2월 알리바바 연차총회에서 마윈(馬雲) 회장은 딩토크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밝히며 딩토크를 집중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마 회장은 이어 야부리(亞布力) 중국 기업가 포럼에서도 SNS 분야를 포기하지 않겠다고 강조, 딩토크를 알리바바의 미래 먹거리라고 표현했다.  

업계 전문가는 텐센트와 알리바바가 기술적으로는 막상막하면서도 서로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텐센트의 경우 8억명 이상의 기존 메신저 이용자가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알리바바의 강점은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모바일 앱 MOMO(陌陌)에 투자해 대중용 메신저 기반을 닦은 것과, 기업용 메신저를 텐센트보다 1년 정도 빨리 출시해 수백만명의 이용자를 미리 확보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쌓은 점이다.

한편 텐센트 기업위챗과 알리바바 딩토크 이외에도 기업용 메신저 분야에 강력한 경쟁사들이 존재한다.

금목표(今目標 오늘의 업무목표)라는 메신저는 2015년 11월까지 가입 기업수 200만, 일일 사용자수 100만을 보유하고 있다. 운지가(雲之家)라는 기업도 2015년 11월까지 가입 기업수 90만, 가입자수 800만을 보유 중이다.

텐센트 기업위챗 <사진=바이두>

한편 텐센트가 지난 18일 출시한 기업위챗은 iOS, Android, Windows, Mac에서 모두 호환되며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채팅은 물론 통화·이메일·공지·휴가신청·출퇴근 기록·경비청구 등 업무효율 제고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퇴근 후 수신거부 기능을 더해 업무와 일상을 분리시켰다. 기업위챗 개발팀은 기업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데이터 보안감사 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