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글로벌

속보

더보기

[100대 업종분석] (24 )헐리우드를 위협하는 中 영화산업

기사입력 : 2014년06월23일 14:57

최종수정 : 2014년06월23일 17:38

인터넷과 영화가 만나 중국 영화 '독립선언'

[뉴스핌=조윤선 기자]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인터넷 기업의 영화산업 진출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중국 영화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여기에 중국 국산 영화가 잇따라 흥행돌풍을 일으키며 외국영화를 제치고 50%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 업계에서는 올 한해 중국 박스오피스 수입이 300억 위안(약 4조9000억원)을 돌파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14일 개막해 22일 폐막한 제17회 상하이국제영화제에 광셴잉스(光線影視), 화처잉스(華策影視), 파이거촨메이(派格传媒) 등 중국 영화사들이 대거 출현, 향후 영화 투자 관련 계획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 영화사가 한국, 유럽, 미국 등 각국과 영화 제작 협력을 확대하는 내용 외에, 인터넷 자본의 중국 영화산업 진출이 가장 큰 이슈로 주목을 받았다.

◇인터넷 업체 영화산업 속속 진출

쑨젠쥔(孫建軍) 파이거촨메이 총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통합이 업계 추세가 되고 있다"며 "중국 대표 인터넷 업체인 바이두와 알리바바, 텐센트가 영화와 TV, 인터넷 TV(IPTV)를 모바일과 연계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어 콘텐츠 생산자인 영화 제작사에게 절호의 성장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인터넷 업체의 영화산업 진출이 활기를 띄고 있다.

알리바바가 3월 문화산업 종합 그룹인 '문화중국(文化中國 CHINA VISION MEDIA GROUP)'을 인수한데 이어, '위러바오(娛樂寶)'라는 온라인 펀드 상품을 내놨다.

위러바오는 최소 100위안(약 164원)에서 최대 2000위안(약 33만원)까지 개인 투자자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온라인 펀드 상품이다.

위러바오에 투자한 개인들이 향후 제작될 영화의 감독이나 배우 등을 추천할 수 있으며, 주연배우 등 스타들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와 영화 티켓이 주어지는 등 다양한 혜택으로 투자자를 유혹하고 있다. 게다가 알리바바가 예상한 위러바오의 연간 수익률은 7% 정도로 높은 편이다.

올 3월 발행한 위러바오 1기 상품 총 투자규모는 7300만 위안(약 119억원). 30만명에 육박하는 투자자가 4편의 영화에 투자했다. 6월 13일에 발행한 위러바오 총 투자규모는 9200만 위안(약 150억원)으로 16만명이 투자에 참여, 5편의 영화에 투자했다.

알리바바는 앞서 올 춘제(설 연휴) 무렵 중국 동영상 사이트 유쿠투더우(優酷土豆)에도 투자한 바 있다.

이에 뒤질세라 텐센트도 6월 3D 애니메이션 '뤄커왕국3(洛克王國3)'을 출품했다. 특히 텐센트는 자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메신저 QQ와 모바일메신어 위챗(微信)을 '뤄커왕국3'의 홍보 및 박스오피스 수입 창출에 동원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 대표 검색엔진인 바이두 역시 영화사업에 손을 댔다. 올 2월 리옌훙(李彦宏) 바이두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한 영화제작사에 출자해 첫 작품인 3D 애니메이션 대작‘오공(悟空)’을 제작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인터넷 방영을 통해 24억뷰라는 큰 인기를 끌면서 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며 "온라인을 통한 영화 등 문화콘텐츠 방영이 트렌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자본의 잇따른 영화사업 진출에 대해, 위둥(于東) 보나잉예(博納影業) 회장은 "향후 영화제작사가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등 인터넷 업체를 위해 일하게 될 것"이라며 "모바일인터넷 시대가 영화업계의 전통적인 제작 방식은 물론 사고 방식도 변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간 1억위안 지원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도 중국 영화산업 성장에 윤활유가 될 전망이다.

19일 중국 재정부, 국가발개위, 국토자원부, 주택건설부, 중국인민은행, 국가세무총국, 신문출판광전총국 등 7개 부처가 '영화발전 지원에 관한 약간의 경제정책 통지(이하 통지)'를 발표, 영화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나섰다.

세수, 자금, 토지, 금융 등 4가지 측면에서 중국 영화산업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영화관련 기업들의 배급수입, 판권수입 등에 대한 증치세(부가가치세)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중국 매체는 국산 영화가 외화에 비해 자금력에서 열세에 처해있다며, 이번 발표된 '통지'에 영화산업 발전을 위한 특별자금 관리를 강화하고 연간 5~10편의 영화에 평균 1000만~2000만 위안에 달하는 자금 지원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소개했다.

문화산업 발전 특별자금을 중국 영화의 해외진출과 영화제작 첨단기술 도입 등 영화산업 발전에 활용한다는 내용도 담겨있다.

또한 낙후지역인 중서부 지역 현급 도시의 영화관 건설에 정부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중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정보컨설트 기관인 이은컨설트(藝恩咨詢 entgroup) 관계자는 "완전히 상업적인 영화보다는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거나, 중대한 주제를 다룬 영화가 정부 보조금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5월 22일 기준,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1위 '손오공의 탄생-몽키킹(The Monkey King)포스터.[출처=바이두(百度)]
◇본토 영화 점유율 55%

5월 31일 기준,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수입은 108억 위안(약 1조7700억원), 2010년 한 해 박스오피스 수입인 102억 위안(약 1조6700억원)을 넘어섰다.

특히 중국 본토 영화가 외화를 제치고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108억 위안에 달하는 박스오피스 수입 중 중국 국산 영화는 59억600만 위안(약 9600억원)으로 점유율 55%를 차지했다. 반면 외국영화는 48억9400만 위안(약 8000억원)으로 점유율이 45%에 달했다.

2010년 처음으로 박스오피스 수입 100억 위안 돌파 이후, 지난 4년간 중국 영화계에서 박스오피스 수입 100억 위안 달성 기간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 2011년에는 10개월만에, 2012년에는 8개월만에 박스오피스 수입이 100억 위안을 넘어섰지만, 2013년에는 6개월만에 100억 위안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달 22일 기준, 올해 박스오피스 10위권에 랭크된 영화 중, 중국 영화와 외국 영화가 각각 5편씩 이름을 올렸다. 이 중 중국 영화 '손오공의 탄생-몽키킹(The Monkey King)'이 10억4400만 위안(약 1700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 영화시장 규모는 지난 11년간 24배나 성장하며 2012년 세계 2위 영화시장으로 부상했다. 2002년 8억6000만 위안(약 1400억원)에 달했던 박스오피스 수입은 2013년 217억6900만 위안(약 3조5600억원)으로 24배 증가했다.

이은컨설트에 따르면 2013년 신설 영화관 수는 903개로 중국 영화관 수는 총 4583개에 달했다.

UBS증권은 중국 국산 영화가 급성장하면서 2014~2017년 중국 영화 시장은 30%의 고속 성장세를 유지, 2017년 박스오피스 수입이 500억(약 8조1800억원)에서 600억 위안(약 9조8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사진
특검,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을 소환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현장에 모인 취재진이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의원은 "진실되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 부분은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윤 의원은 2022년 6월 치러진 경남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당시 전략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윤 의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에 전략공천되도록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달 8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윤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wonjc6@newspim.com 2025-07-27 10:0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