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이슈

속보

더보기

[중국인물] 알리바바 2인자 '철의 여인' 펑레이

기사입력 : 2014년06월05일 14:56

최종수정 : 2014년06월20일 15:44

그룹 금융사업에 인사권까지 장악

[뉴스핌=강소영 기자] 미국 증시 상장을 앞두고 최근 단행된 알리바바그룹의 내부 인사이동에 중국 재계와 언론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 창업 초기 멤버인 한 여성 중역이 막중한 인사권을 쥐면서   '2인자'로서의 가능성을 드러낸데 반해, 1년전  마윈의 바통을 받은 알리바바 CEO는 조직내 위상이 크게 약화됐기  때문이다.

5일 중국경제망(中國經濟網) 등 복수의 중국 언론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최근 인터넷금융 사업을 담당하는 알리바바 계열사 샤오웨이금융그룹(小微金融服務集團)의 대표 펑레이(彭蕾·사진)를 알리바바 그룹의 최고 인사책임자(CPO)로 임명했다. 펑레이는 샤오웨이금융그룹의 대표직과 알리바바 그룹의 최고 인사책임자를 겸임하게 됐다.

◇ 유력경쟁자 루자오시 실력으로 '격파'
 
펑레이는 마윈 등 알리바바의 다른 주요 임원에 비해 외부에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그러나 알리바바 그룹 권력구조를 잘 아는 인사들은 그녀를 마윈의 뒤를 이를 유력한 '후계자'로 점칠 정도로 펑레이는 그룹 내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지난해 3월 마윈이 알리바바 CEO직 '퇴진'을 선언했을 때 재계 전문가들은 펑레이가 마윈의 뒤를 이어 알리바바의 CEO가 될 것으로 확신했다. 그러나 마윈은 시장의 예상을 뒤엎는 혁신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그가 CEO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투 톱' 경영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마윈은 알리바바 그룹 CEO 자리에 루자오시(陸兆禧) 당시 최고 데이터책임자를 앉혔고, 그룹과 독립된 인터넷 금융 사업 회사인 샤오웨이금융그룹을 설립해 펑레이를 CEO로 임명했다. 알리바바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지급대행시스템 알리페이(즈푸바오·支付寶)도 샤오웨이금융 그룹으로 편입시켰다.

대대적인 조직 인사개편 단행 후 1년이 지난 지금 펑레이와 루자오시의 그룹내 위치는 천양지차로 벌어졌다. 루자오시 알리바바 CEO가 텐센트를 견제하기 위해 야심 차게 추진했던 알리바바 자체 SNS 라이왕(來往)의 사업이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그에 대한 마윈의 신뢰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루자오시는 결국 마윈으로부터 온라인 사업권한을 박탈당했다. 중국 언론은 루자오시가 알리바바 그룹에서 직함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사실상 '휴업' 상태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펑레이가 이끄는 금융그룹은 승승장구하고 있다. 중국 전통 금융권을 위협하며 인터넷 금융 시장의 성장을 견인한 위어바오(餘額寶) 역시 샤오웨이금융그룹의 작품이다.

◇ 마윈의 절대 신임에 힘입어 승승장구 

펑레이는 1994년 항저우상대(杭州商學院) 기업관리학과를 졸업하고 알리바바 그룹 창업에 동참한 창업멤버다. 펑레이와 마윈의 인연은 그녀의 남편 쑨퉁위(孫彤宇) 덕분이었다. 쑨퉁위가 1997년 알리바바 창업에 합류하면서 펑레이도 함께 알리바바와 함께하게 됐다.

펑레이는 똑부러지는 성격과 뛰어난 업무 능력으로 일찍부터 마윈의 신임을 얻어온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펑레이가 샤오웨이금융그룹의 CEO로 임명된 후 항간에 퍼진 '이혼 스캔들'은 그녀의 대장부 같은 성격과 마윈의 펑레이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회자된다.

당시 인터넷에는 알리바바 창립의 일등공신 중 한 명인 펑레이의 남편 쑨퉁위가 2008년 알리바바를 돌연 떠난 사건과 펑레이의 그룹 내 고속승진이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마윈이 쑨퉁위를 해고할 계획을 펑레이가 미리 알고 있었지만, 공과 사를 엄격히 구분하는 펑레이가 이 사실을 쑨퉁위에게 알려주지 않았고, 이에 크게 분노한 쑨퉁위가 펑레이와 이혼을 결심하게 됐다는 것이었다. 그 후 마윈의 펑레이에 대한 신임은 더욱 깊어졌고, 회사 내에서 펑레이의 입지가 강화됐다는 것.

이에 펑레이는 "나와 남편이 잠시 이혼한 적이 있지만 현재 재결합한 상태고, 이는 회사 일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사생활이다"라며 소문을 부인했다.

◇ '후계자' 등극은 시간이 걸릴 것 

최고 인사책임자(CPO)는 그룹의 전반적인 사무,행정, 시장관할 및 인사권을 장악하게 된다. 또한 회사의 '가치관'을 대변하는 위치로 실질적 권한이 CEO에 뒤지지 않는다는 것이 재계의 평가다.

즉 펑레이가 알리바바그룹의 최고인사책임자에 임명된 것은 그녀의 능력과 그녀에 대한 회사의 믿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펑레이는 지난해 샤오웨이금융그룹의 CEO로 발령 나기 전 그룹 내에서 장기간 CPO 직을 수행해왔기 때문에 해당 업무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계와 시장은 그녀가 마윈의 뒤를 이을 '후계자'가 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루자오시 알리바바 CEO가 사실상 '버려진 자식'으로 전락하면서 펑레이의 입지가 더욱 확장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실적에 따라 그녀의 명운이 바뀔 수 있겠지만, 재계 전문가들은 마윈이 CEO '퇴진' 후에도 알리바바의 최고 우두머리의 역할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펑레이가 당장 '후계자'로 올라서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알리바바는 5일 홍콩상장 부동산기업인 헝다(恒大)그룹과 전략적 합작 MOU를 체결,  12억위안을 들여  헝다 축구구단 지분 50%를 인수하기로 했다.  마윈 알리바바 이사회 주석은 헝다에 대한 이번 투자는 크게보면 중국 축구에 대한 투자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