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좌완 김범수, 올시즌 좋은 활약으로 이영하와 비슷한 금액대 계약 그려져
두산 최원준, 선발·불펜 모두 가능한 자원으로 여러 팀에게 오퍼 들어와
KIA 조상우, 이번 시즌 부진했지만 고점이 높아 가격 조정 시 계약 가능성 높아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프로야구 스토브리그가 연일 자유계약신분(FA) 계약 소식으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지금까지 시장의 흐름이 야수 중심으로만 형성돼 있었다는 것. 그러나 27일 두산이 불펜 핵심 이영하와 대형 계약을 체결하면서, 잠잠하던 투수 FA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불이 붙을 전망이다.
2026시즌 FA 자격을 얻은 선수는 총 21명. 이 가운데 8명이 이미 계약을 완료했다. 하지만 그중 투수는 2명뿐이다. 가장 먼저 계약을 마친 투수는 KIA의 이준영으로, 3년 총액 12억원(계약금 3억·연봉 6억·인센티브 3억)에 잔류했다. 이후 투수 쪽에서는 뚜렷한 움직임이 없는 정적이 이어졌다.
![]() |
| 두산의 불펜 투수 이영하가 두산과 4년 최대 52억원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 = 두산] |
이 흐름을 깨뜨린 것은 이영하였다. 두산은 27일 "FA 투수 이영하와 4년 최대 52억 원(계약금 23억·연봉 총액 23억·인센티브 6억)에 합의했다"라고 발표했다. 많은 이들이 예상하지 못한 금액이었고, 투수 FA 시장 전체가 다시 요동칠 수 있는 방아쇠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이영하는 2016년 두산의 1차 지명을 받은 뒤 줄곧 한 팀에서만 뛰었다. 통산 355경기, 802.1이닝 60승 46패 9세이브 27홀드, 평균자책점 4.71로 팀 내에서 꾸준히 임무를 수행해 왔다. 특히 올해는 73경기에 나와 4승 4패 14홀드, 평균자책점 4.05로 불펜에서 묵직한 역할을 맡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기복 있는 선수'라는 평가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다. 매 시즌 평균자책점이 4~5점대를 오가고, 특정 시즌에서 뚜렷한 성적을 남긴 적도 많지 않다. 한 구단 관계자는 "아무리 잘 쳐줘도 25~30억 정도가 적정 금액"이라고 말했을 만큼 외부 시장의 평가도 냉담했다.
그러나 이영하는 선발과 불펜을 모두 맡을 수 있는 멀티 롤, 그리고 28세의 젊은 나이라는 장점 때문에 여러 팀의 관심을 끌었다. 두산 역시 이영하를 반드시 잡겠다는 의지가 강했고, 이 과정에서 가격이 급격히 상승했다는 뒷이야기가 전해진다. 결국 두산은 경쟁 팀들의 움직임을 의식해 52억 원이라는 조건을 제시했고, 협상은 일사천리로 마무리됐다.
이제 관심은 남은 투수 FA들로 향한다. 아직 계약하지 않은 투수는 김태훈·이승현(삼성), 조상우·양현종(KIA), 최원준(두산), 김범수(한화), 김상수(롯데)까지 총 7명이다. 이 가운데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선수는 단연 한화 좌완 파이어볼러 김범수다.
![]() |
| 김범수. [사진=한화] |
김범수는 통산 성적만 보면 이영하보다 뒤처진다. 그러나 올해 그의 퍼포먼스는 완전히 달랐다. 73경기 48이닝에서 2승 1패 6홀드 2세이브, 평균자책점 2.25를 찍으며 커리어하이를 달성했다. 원포인트 좌완으로만 기용되던 초반과 달리 시즌 중·후반에는 이닝을 길게 끌고 가는 역할까지 맡으며 한화 필승조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특히 9월 초까지 1점대 평균자책점을 유지했고, 피안타율은 0.181, 피홈런은 단 한 개도 없었다. 40이닝 이상 소화한 122명 중 유일하게 피홈런 '0'이었다는 점은 김범수의 가치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 같은 반등의 배경에는 제구 안정이라는 확실한 변화가 있다. 시즌 중 양상문 코치의 조언으로 투구판 위치를 1루 쪽으로 조정했고, 이 선택이 피칭 전체를 안정시키는 계기가 됐다. 포스트시즌에서도 올해 김범수의 활약은 빛났다. 이번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7경기에서 3.1이닝을 던져 1세이브 2홀드, 무실점을 기록했다.
김범수는 B등급 FA에 해당하며, 올해 연봉 1억4300만원으로 보상 부담도 크지 않다. 좌완 불펜이라는 희소성과 30세라는 나이까지 고려하면 여러 팀이 관심을 보일 수밖에 없다. 당연히 김범수 측은 이영하 계약을 기준선으로 잡을 가능성이 크다. 50억 대에 근접하는 금액을 노려볼 여지가 충분하다는 평가다.
![]() |
| 한화의 불펜 투수 김범수. [사진 = 한화] |
한화는 김범수를 무조건 잡겠다는 심산이다. 좌완 불펜으로 황준서와 조동욱이 있지만 아직 어린 나이로 불안한 모습이 없지 않아 있다. 김범수도 경쟁이 치열할 것이다. 복수의 팀이 김범수를 노리고 있다. 한화는 김범수를 지키기 위해서 많은 돈을 희생해야 한다.
두산의 또 다른 FA 투수인 최원준 역시 갑작스럽게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올해 성적은 47경기 107이닝 4승 7패 9홀드 평균자책점 4.71로 만족스럽지 못했지만, 최원준은 고점을 보여준 선수다. 그는 2020년 10승, 2021년 12승으로 2시즌 간 두 자릿수 승수를 채운 기억이 있다. 2022시즌에도 8승 평균자책점 3.60으로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
최원준은 이영하와 달리 A등급 FA에다 최근 몇 년 동안 하락세를 보여 경쟁 구도가 있을까 의문이었다. 하지만, FA 시장에서 이영하와 함께 다른 구단들의 주목받는 투수가 됐다. 이영하처럼 선발과 불펜을 모두 소화할 수 있으며 강속구 사이드암의 희귀성 장점이 부각된 까닭이다.
![]() |
| 최원준. [사진=두산] |
여기에 워크에식도 좋아 항상 팀을 위해 희생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갖추고 있다. 이영하를 놓친 팀들이 충분히 대안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선수다.
실제로 최원준을 두고 경쟁 구도가 형성돼 두산도 긴장감을 느끼면서 협상 테이블에 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원형 감독이 가장 원하는 그림이 이영하와 최원준의 동반 잔류였기에 두산 구단도 끝까지 최선을 다해 협상에 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KIA의 셋업맨 조상우도 시장의 중요한 카드다. 올해 60이닝을 던지며 6승 6패 28홀드, 평균자책점 3.90으로 기대에 못 미쳤지만, 과거 키움 시절 2015년 19홀드 평균자책점 3.09, 2019년 20세이브 평균자책점 2.66, 2020년 33세이브 평균자책점 2.15를 기록했던 경험이 있기에 충분히 매력적인 옵션이 될 수 있다.
![]() |
| KIA의 불펜 투수 조상우. [사진 = KIA] |
다만 조상우에게는 'A등급'이라는 꼬리표가 있다. 그를 영입하는 팀은 보상선수 1명+보상금을 KIA에 지급해야 한다. 여기에 KIA는 예산 문제와 양현종·최형우 잔류라는 우선순위 때문에 움직임이 느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겨울 FA 시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불펜 투수 가뭄이 심각한 리그 상황에서, 가격만 적절히 조정된다면 조상우 역시 여러 팀의 눈길을 받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분석도 있다.
이영하의 52억 계약은 단순히 한 선수의 '잭팟'이 아니라, 투수 FA 시장 전체의 새로운 기준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남은 투수 FA들의 움직임이 어떻게 이어질지, 스토브리그의 긴장감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wcn050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