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한 달 새 1조7000억 유입…증시 활황·세제 혜택에 가입 러시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가입자 수가 지난 10월 한 달간 약 26만명 늘며, 3년 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가입 금액도 월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 규모인 1조7000억원 증가했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10월 말 기준 ISA 가입자 수가 전월(668만9000명) 대비 25만7000명 증가한 694만7000명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 |
| [자료=금융투자협회] |
이는 투자중개형 ISA 도입과 동학개미운동 등의 영향으로 2022년 1월 한 달간 약 73만명 늘어난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지난 10월 한 달간 코스피가 20% 상승하고 4100포인트를 돌파하는 등 증시 활황 영향으로 풀이된다.
ISA 전체 가입 규모도 10월 말 기준 45조2000억원을 기록하며, 10월 한 달간 1조7000억원 증가했다. 월간 기준 지난 1월(2조3000억원 증가) 이후 최대이며, 역대 두 번째에 해당하는 규모다.
ISA는 하나의 계좌에서 국내상장주식, 상장지수펀드(ETF), 펀드 및 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면서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는 계좌형 상품으로 2016년 3월 국민의 종합적 자산관리를 통한 재산형성 지원을 위해 출시됐다.
ISA의 가장 큰 장점은 절세다. 일정 기간 경과 후 계좌 내 금융상품 간 이익과 손실을 통산해 순이익을 기준으로 일반형 기준 최대 200만원(서민형 최대 400만원)까지 비과세되고,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저율(9.9%)의 분리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또한 ISA는 저소득층이 많이 가입하는 세제 혜택 상품이기도 하다. 10월 말 기준 50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만 가입할 수 있는 서민형 ISA의 가입자 수는 408만1000명, 가입 금액은 26조원으로 각각 전체 ISA의 58.7%, 57.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A는 투자중개형과 신탁형, 일임형으로 나뉜다. 모두 주식, ETF,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에 투자가 가능하지만, 운용 방식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ISA의 가입 금액과 가입자 수는 2021년 투자중개형 ISA가 도입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투자중개형은 가입자가 직접 금융상품을 선택해 투자·운용하는 방식이며, 신탁형은 가입자가 신탁업자(은행, 증권사 등)에게 운용 지시를 내려 맞춤형 상품으로 운용한다. 일임형은 은행, 증권사 등이 제시한 모델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자산운용 전문가에 맡기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가입자 694만7000명 중 투자중개형이 589만1000명으로 약 84.8%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신탁형은 92만4000명(13.3%), 일임형은 13만2000명(1.9%)을 기록했다.
가입 금액 측면에서도 전체 45조2000억원 중 투자중개형이 28조5000억원으로 전체의 63.0%를 차지했으며, 신탁형은 15조5000억원(34.3%), 일임형은 1조2000억원(2.7%)을 기록했다.
이환태 금융투자협회 산업시장본부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자본시장 활성화 노력과 강력한 주가 부양 의지가 ISA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며 "세제 혜택 및 가입연령 확대 등 ISA에 대한 장기투자 인센티브가 늘어난다면 코스피 5000 시대가 보다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kgml92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