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기상·충돌 가능성 종합 검토
기상·우주환경 철저히 검토 후 결정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6일 오후 7시 30분 누리호 4차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 시각을 27일 오전 0시 55분으로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발사관리위원회는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목표 궤도 진입을 목표로 누리호의 기술적 준비 상황, 기상 조건,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 예정대로 발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 |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장에서 기립한 상태다. [사진=우주항공청] 2025.11.26 biggerthanseoul@newspim.com |
이날 오전 연료와 산화제 충전을 위한 엄빌리컬 연결과 기밀점검 등 모든 작업이 완료돼 발사체는 발사대 설치를 마친 상태다. 오후 6시 45분부터 발사관제장비 운용이 시작됐으며, 오후 7시 25분부터는 추진 공급계 점검과 상온헬륨 충전도 진행 중이다.
나로우주센터의 기상 상황은 발사에 최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발사 시각 기준으로 구름 없는 맑은 날씨가 예상되며 강수 확률은 0%다.
현재 지상풍 평균 풍속은 1m/s로 양호하고, 고층풍도 발사 가능 조건을 충족했다. 비행 경로상 낙뢰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주환경 분석 결과 태양 활동에 의한 발사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됐으며, 우주 궤도를 돌고 있는 우주정거장 등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료와 산화제 충전은 오후 10시 10분경 시작된다. 연료 충전은 오후 11시 25분경, 산화제 충전은 오후 11시 55분경 각각 완료될 예정이다.
누리호는 발사 10분 전인 27일 0시 45분부터 자동 운용 모드로 전환된다. 자동 운용 중 이상 현상이 감지되면 발사가 중단될 수 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탑재위성을 성공적으로 목표 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발사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