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통신 기술 선도 위한 전략적 협력 MOU 체결
AI 기반 채널 추정·분산형 MIMO 송수신·AI-RAN 스케줄러 등 공동 연구
6G 상용화 위한 현장 검증 강화…글로벌 네트워크 생태계 주도 목표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은 26일 삼성전자와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경쟁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AI-RAN) 공동 연구를 추진하기로 하고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양사가 차세대 네트워크 경쟁력을 함께 강화해 6G 상용화 기반을 조기에 마련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됐다.
양사는 ▲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 ▲분산형 다중 안테나(MIMO) 송수신 기술 ▲AI-RAN 기반 스케줄러 및 코어 네트워크 기술 등 6G 시대 핵심 요소 기술을 공동 연구하고 실증하기로 했다. 연구는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삼성전자 삼성리서치가 각각 주도한다.
![]() |
| [사진=SK텔레콤] |
SK텔레콤은 전국망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제공 및 실증 인프라 구축을 담당한다. 삼성리서치는 AI 채널 추정 모델 개발과 분산형 다중 안테나 알고리즘 고도화를 맡아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성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은 벽·건물 등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뒤틀리는 환경에서도 인공지능이 신호 전달을 예측·보정해 데이터 정확도를 높인다. 분산형 MIMO 송수신 기술은 여러 기지국·안테나 간 협력 전송 구조를 활용해 대규모 밀집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초고속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AI-RAN 스케줄러와 코어 네트워크 기술은 네트워크가 데이터 전송 시기와 경로를 스스로 판단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돕는다.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AI-RAN 얼라이언스 멤버로서 지난해부터 기술 협력을 지속해왔다. 양사는 지난 6월 핀란드 에스푸에서 열린 총회에서 AI 기반 채널 추정 기술을 공동 제안해 승인을 받았으며, 11월 미국 보스턴 총회에서는 연구 성과를 공개하는 등 글로벌 활동을 이어왔다.
SK텔레콤은 2023년 국내 통신사 최초로 6G 백서를 발표해 AI 기반 미래 네트워크 청사진을 제시했다. MWC 2025에서 AI-RAN 기지국 시연을 선보였으며, 지난 10월에는 엔비디아와 AI-RAN 기술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는 등 AI 네트워크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류탁기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담당은 "AI와 무선통신의 융합은 6G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AI-RAN 기술을 확보해 글로벌 6G 생태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현장 중심 협력을 통해 AI 기반 무선 기술 실효성을 입증하고 핵심 AI-RAN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것"이라며 "양사의 협력이 6G 상용화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