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현역 최고령 배우였던 고(故) 이순재가 25일 향년 91세로 별세한 가운데 연예계의 추모가 이어지고 있다.
25일 tvN '꽃보다 할배'에서 고인과 인연을 맺었던 나영석 PD는 넷플릭스 예능 '케냐 간 세끼' 제작발표회에서 "오전에 비보를 접하고 많이 놀랐다. 생전 선생님이 여행과 사적인 자리에서 제일 많이 들려줬던 얘기는 '끝까지 무대 위에 있고 싶다'는 말씀이었다"고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향년 91세로 별세한 배우 고(故) 이순재의 빈소가 25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돼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故 이순재는 국내 최고령 현역 배우로 70년 가까이 다양한 연극과 드라마, 영화, 예능을 넘나들며 활약했다. 2025.11.25 photo@newspim.com |
이어 "그 말씀은 꾸준하게 성실하게 일하는 것에 대해 많은 귀감이 됐다"며 "이제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실 수 있기를 기도하겠다"고 전했다.
김혜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난해 KBS 연기대상 당시 고인이 대상을 수상하며 남긴 "평생 동안 신세 많이 지고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소감 영상을 다시 공유하며, 선배의 마지막 순간을 기렸다.
이민정 역시 "언제나 기억하겠습니다. 평생 멋진 연기, 지치지 않는 열정 보여주셔서 늘 감동이었습니다"라며 존경을 표했다. 이순재와 데뷔작을 함께한 서예지는 "가장 존경하고 사랑하는 선생님. 사랑합니다. 감사했습니다.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라며 함께 찍은 사진을 게재했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측도 "우리에게 큰 위로와 즐거움을 전해주신 이순재 선생님께서 별세하셨다. 평생 도전을 멈추지 않으셨던 선생님을 오래도록 기억하겠다. 그곳에서 오랜 동료분들과 함께 편히 쉬시길 바란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전했다.
방송계 후배들뿐 아니라 가요계에서도 추모가 이어지고 있다. 태연은 소녀시대 멤버 유리, 이순재와 함께한 사진을 올리며 애도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생전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한 고 이순재. [사진=tvN 캡처] 2025.11.25 alice09@newspim.com |
윤도현은 "오늘 선생님께서 세상을 떠나셨다는 소식을 접하고 깊은 애도를 표한다. 배우 이순재 선생님께서는 제가 진행했던 '4시엔 윤도현입니다' 라디오 첫 번째 초대 손님으로 나와주셨고, 그날 선생님과 나눈 이야기는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라며 "한국 연극·영화·드라마의 역사와 함께하셨고 무대 위에서 그리고 화면 속에서 언제나 진솔하고 겸손한 태도로 관객과 시청자를 마주하셨던 이순재 선생님. 한국 대중문화와 많은 이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계실 것"이라고 했다.
특히 뉴스핌 취재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 등에서는 지난 2018년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한 고인의 공적을 기리는 방안을 논의, 기존 훈장을 승격해 금관문화훈장으로 추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문화훈장은 정부포상의 최고 훈격으로서, 문화예술 발전과 국민 문화 향상에 기여한 공적이 현저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금관'은 그중 최고 등급으로서 해당 분야의 개척자나 원로급 인사에게 수여한다.
고인은 1964년 TBC에서 방송 활동을 시작해 1966년 정진우 감독의 '초연'으로 배우 생활을 시작했으며 '한'(유현목, 1967), '단발머리'(김수동, 1967), '빙점'(김수용, 1967), '대괴수 용가리'(김기덕, 1967), '막차로 온 손님들'(유현목, 1967)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했다.
1976년 허준의 일대기를 다룬 최인현 감독의 영화 '집념'으로 백상예술대상 최우수 남우상을 수상했으며 드라마 '동의보감'(1991), '허준'(1999),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2006)을 비롯해 다양한 작품으로 끊임없이 활동하며 대중과 만났다. 2000년대 이후엔 연극 '장수상회' '아트'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 등으로 후배 연기자들, 현장 관객과도 꾸준히 만났다.
고 이순재의 빈소는 이날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27일 오전 6시20분 예정으로 장지는 이천 에덴낙원이다. 유족은 일반 시민의 빈소 조문은 받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대신 KBS 본관과 별관에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특별 분향소가 차려질 예정이다.
alice0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