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뉴스핌] 이형섭 기자 = 강원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 일대 원주취수장 일원의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여부를 둘러싼 논의가 지역사회의 주요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곽문근 원주시의회 부의장은 24일 "이 구역은 1992년 지정된 이후 약 7.57㎢ 규모로, 하루 9만t의 원수를 공급하고 있다. 취수장은 그동안 원주시민에게 생명선이었으나, 인근 횡성군민에게는 토지 활용 제약과 자산가치 훼손의 상징이었다"고 밝히며 해법 마련을 촉구했다.
![]() |
| [동해=뉴스핌] 이형섭 기자 = 원주시의회 곽문근 부의장. 2025.11.24 onemoregive@newspim.com |
곽 부의장은 "지난 10여 년간 횡성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요구가 지속됐으나, 대체 상수원 확보 등 현실적 방안 부재로 논의는 답보 상태를 이어왔다. 원주시가 수립한 수도정비 기본계획과 정부의 국가수도 기본계획에 따르면, 원주취수장 공급이 중단될 경우 2035년부터 하루 5000t, 2040년에는 1500t의 생활·공업용수가 부족할 전망"이라며 물 부족 사태 해결을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최근 기상 변화와 인구 증가로 수도수요가 계속 늘고 있는 데다, 원주시의 인구 50만명 확대 계획이 포함되면서 대안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횡성댐 증설로 대체를 시도하려 해도 기존 중앙 차수벽형 석괴댐 공법 특성상 기술적 한계가 크고, 추가 증설 시 더 넓은 보호구역 지정이 불가피해 또다른 갈등이 우려된다"고도 전망했다.
이 같은 복잡한 상황에서 원주와 횡성 두 지방자치단체가 현실적 대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곽문근 부의장은 "상수원보호구역 문제는 단순한 지역이기주의 논쟁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물 수급과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의 전국단위 수도정비계획인 '국가수도 기본계획'이 새로 마련되는 과정에서, 그동안 원주시가 이 계획에 포함되지 않아 국비 지원이 어려웠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곽문근 부의장은 "이번 국가계획 타당성재검토를 계기로 원주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그래야만 향후 모든 수도사업 예산에 국비 편성이 가능해지고,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위한 현실적 대안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onemoregiv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