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투자의견 '매도'에서 '중립'으로 전환
PFA·RDN 기술로 심혈관 부문 성장세 지속 전망
알타비바·휴고 로봇 등 신제품 출시로 시장 확대
이 기사는 11월 19일 오후 4시4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메드트로닉 52주 신고점 ① PFA 혁신으로 10년 만에 최강 성장세>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 월가, 일제히 목표주가 상향... 골드만, 매도에서 중립으로 급선회
메드트로닉의 강력한 실적 발표 이후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일제히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CNBC 집계에 따르면, 35개 투자은행(IB) 중 6곳이 '강력 매수', 11곳이 '매수', 16곳이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시장수익률 하회' 의견은 2곳에 불과했다.
이들이 제시한 목표주가 평균은 105.20달러로, 현재 주가에서 4.37%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 그러나 미즈호의 125달러, 리링크 파트너스의 120달러 등 일부 공격적인 전망도 제시되고 있어,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경우 더 큰 상승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 |
| 메드트로닉의 사업 구조 [자료 = 업체 홈페이지] |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골드만삭스의 투자의견 전환이다. 골드만삭스는 19일 메드트로닉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도'에서 '중립'으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11달러로 높였다.
골드만삭스는 "이번 투자의견 상향은 메드트로닉이 강력한 제품 모멘텀과 개선된 전반적인 재무 지표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라며 "초기 예상과 달리 유기적 매출 성장세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는 특히 연구개발(R&D)과 판매, 일반 및 관리(SG&A) 비용의 가속화된 성장을 강조하며, 이는 보다 지속적인 성과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 연속 재투자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메드트로닉이 더 높은 매출 성과를 보이는 기간에 접어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골드만삭스는 수정된 전망의 핵심 요인으로 "회사의 전략이 실행으로 옮겨지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를 꼽았다. 2024년 5월 30일 골드만삭스의 '매도' 목록에 추가된 이후 메드트로닉 주가는 S&P 500의 26% 상승과 비슷한 25% 상승을 기록했다.
미즈호 증권은 19일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15달러에서 12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자레드 홀즈 주식 전략가는 메드트로닉의 신장 신경차단술(RDN) 치료법의 강력한 모멘텀을 언급했는데, 10월 유리한 전국 보장 결정 이후 첫 부분 출시 해에 5000만 달러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즈호는 약 100개의 RDN 기기가 미국 외래 환자 환경에 배치됐다고 투자자들에게 전하며, PFA 기술이 현재 회사 심장 절제 솔루션 부문 수익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회계연도 말까지 1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 |
| 메드트로닉의 2026회계연도 2분기 재무 하이라이트 [자료 = 업체 홈페이지] |
리링크 파트너스는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14달러에서 12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마이크 크랫키 애널리스트는 심장 절제술 솔루션(CAS) 부문의 예상보다 강력한 실적을 그 이유로 꼽았다. CAS 부문은 PFA 기술의 300% 이상 성장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약 71% 성장했다.
크랫키는 메드트로닉의 단기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경영진이 3분기 성장세가 다시 가속화되어 현재 애널리스트 추정치를 잠재적으로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언급했다. 리링크는 구조적 심장 및 미국 당뇨병 부문의 지속적인 약세를 인정하면서도 RDN, 휴고 로봇, 알타비바 제품의 기여를 포함해 회계연도 하반기에 여러 추가 성장 동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리링크는 메드트로닉이 4분기까지 약 6%의 자체 매출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며, 현재 회사의 밸류에이션이 수십 년간의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성장 잠재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메드트로닉의 후행 주가수익배율(PER)은 27.3배로 단기 수익 성장률에 비해 높은 수준이지만, 회사는 현재 2.82%의 배당 수익률로 49년 연속 배당금 지급을 유지해왔다.
웰스파고도 19일 메드트로닉 목표주가를 114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재확인했다. 이번 목표주가 상향 조정은 메드트로닉의 2분기 유기적 성장률이 5.5%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데 따른 것으로, 운영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EPS가 시장 기대치를 넘어선 점을 높이 평가했다.
웰스파고의 새로운 목표주가는 메드트로닉의 2027년 캘린더 연도 주당순이익 추정치의 약 18배를 기준으로 하며, 메드트로닉이 PFA, RDN, 알타비바 기술을 포함한 성장 영역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
| 메드트로닉의 의료 기기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제프리스는 메드트로닉에 대한 목표주가를 94달러에서 110달러로 대폭 상향 조정하면서도 '보유'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제프리스는 메드트로닉의 CAS 성장률이 3분기에 컨센서스 예상치를 상회하여 가속화된 점에 특히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에버코어 ISI는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07달러에서 11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비제이 쿠마르 애널리스트는 메드트로닉이 최근 실적 발표에서 "균형 잡힌 유기적 성장을 보였다"고 평가했으며, 특히 심방세동 솔루션이 PFA 기술에 힘입어 가속화되면서 주요 성장 동력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쿠마르는 경영진이 RDN 기술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하며, 국가 보장 결정 기준이 장애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데 주목했다. 또한 알타비바에 대한 경영진의 긍정적인 전망을 언급하고 2027 회계연도 메시지를 되풀이했다. 새로운 115달러의 목표주가는 메드트로닉의 2026년 주가수익비율(PER)의 약 19배에 해당한다.
◆ 차별화된 성장 스토리 구축
애널리스트들은 메드트로닉의 성장 모멘텀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에버코어 ISI의 비제이 쿠마르는 "메드트로닉은 매우 잘 준비돼 있다"고 평가했다.
![]() |
| 메드트로닉의 2026회계연도 2분기 하이라이트 [자료 = 업체 홈페이지] |
메드트로닉의 성장 동력은 명확하다. PFA 기술을 중심으로 한 심혈관 부문의 폭발적 성장, 심플리시티와 알타비바 등 신제품의 대규모 시장 진입, 휴고 로봇 시스템의 상용화, 안정적인 시술 수요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회사가 제시한 하반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마사 CEO는 신제품 출시와 주요 사업부의 모멘텀을 근거로 3분기와 4분기 실적이 상반기를 상회할 것으로 자신했다. 특히 심플리시티의 본격 출시로 1800만 명 규모의 고혈압 치료 시장, 알타비바를 통한 1600만 명 규모의 요실금 치료 시장 진입이 하반기 성장을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 꼽힌다.
PFA 기술의 성장세도 지속될 전망이다. 미즈호 증권에 따르면 PFA 기술은 현재 메드트로닉 심장 절제 솔루션 부문 수익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회계연도 말까지 10억 달러 매출 달성이 유력하다. 이는 단일 기술로는 이례적인 성과로, 메드트로닉이 심방세동 치료 시장에서 확고한 리더십을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휴고 로봇 시스템의 FDA 승인도 임박했다. 현재 다빈치 시스템이 지배하고 있는 미국 외과용 로봇 시장에 메드트로닉이 진입하면,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될 전망이다. 이미 비뇨기과 및 탈장 수술 분야에서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한 만큼 승인 이후 빠른 시장 침투가 예상된다. 외과용 로봇 시장은 고성장·고마진 시장으로, 메드트로닉이 이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점유율을 확보할 경우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일부 리스크 요인도 존재한다. 수익성 지표의 소폭 둔화와 관세 영향은 주시할 필요가 있다. 회사는 약 1억8500만 달러의 관세 영향을 전망에 반영했으며, 이는 EPS에 일정 부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피에통 CFO는 "내년에는 추가 완화 노력으로 관세 영향이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
메드트로닉은 밸류에이션도 매력적인 수준이다. 리링크 파트너스는 현재 회사의 밸류에이션이 수십 년간의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성장 잠재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후행 PER 27.3배는 단기 수익 성장률 대비 높아 보이지만, 회사는 49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해온 안정성과 2.82%의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어 장기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이다.
![]() |
| 심플리시티 스파이럴 신장 신경차단술 시스템 [사진 = 메드트로닉] |
회사는 수익성 지표가 소폭 둔화된 가운데도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실적 개선이 가시화되면 배당 증가 여력도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메드트로닉의 배당 정책은 장기적인 주주 가치 창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회사의 현금 창출 능력과 재무 안정성을 입증한다.
전반적으로 메드트로닉은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성장 스토리를 구축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업계 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는 평가다. PFA 기술이 단기간 내 1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매출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심플리시티·알타비바·휴고 등 대형 신제품 포트폴리오가 대기하고 있어 향후 실적 개선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다만 투자자들은 관세 리스크, 일부 사업부의 부진, 경쟁 심화 등의 변수를 염두에 두고 투자 판단을 내릴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드트로닉이 제시한 명확한 성장 로드맵과 실행력, 그리고 월가의 광범위한 지지는 회사의 밝은 전망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근거가 되고 있다.
kimhyun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