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KT가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서버를 폐기해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19일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KT 판교·방배 사옥에 대해 동시 압수수색을 벌이며 해킹 대응 과정 전반을 본격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 |
|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사진=뉴스핌 DB] |
◆ KT 판교·방배 사옥 동시 압수수색...수사관 20여명 투입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9일 오전 KT 판교 사옥과 방배 사옥에 수사관 20여 명을 투입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KT가 해킹 사고 대응 과정에서 고의로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조치로, 사무실 내부의 문서·전자자료 등이 확보 대상이다.
경찰 관계자는 "확보한 자료를 중심으로 KT가 해킹 정황을 알고도 은폐 시도를 했는지 집중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정보보안실장 A 실무총괄 입건…증거은닉 여부 수사
경찰은 이번 KT 사안의 실무 책임자로 알려진 A 정보보안실장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한 것으로 확인됐다.
A 실장은 해킹 조사 과정에서 관계기관에 부실·허위 보고를 했는지, 서버 폐기 과정에서 증거인멸 지시나 승인 여부가 있었는지가 수사의 핵심에 놓여 있다.
경찰은 A 실장 역시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보고 관련 기록을 확보 중이다.
![]() |
| KT 로고. [사진=KT] |
◆ "해킹 흔적 지우려 서버 폐기했나"...의혹 확산
KT 해킹 의혹은 지난 8월 미국의 보안 전문 매체 '프랙(FRAC)'이 KT 서버 해킹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이후 KT가 해당 서버를 뒤늦게 폐기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증거 인멸 의혹이 제기됐고, KT의 대응 과정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졌다.
KT 측은 당시 "정상적 절차에 따른 서버 폐기"라고 해명했지만, 관계기관 조사가 이어지면서 의혹은 해소되지 않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일 KT의 서버 폐기 경위 및 해킹 대응 과정 전반에 대한 수사를 경찰에 공식 의뢰했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망법 및 관리·보안 체계 위반 가능성을 문제 삼았으며, 경찰은 오늘 압수수색으로 사실상 합동 조사 국면에 돌입한 셈이다.
KT의 해킹 사고 대응이 단순한 과실인지, 조직적 은폐 시도가 있었는지가 향후 수사의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경찰은 확보된 압수물을 바탕으로 포렌식 분석을 진행하고, 관련자 추가 소환 등 본격적인 신병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