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고물가 대응과 지난 2019년 수감 중 사망한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수사 처리에 대한 불만 속에 취임 후 최저치인 38%로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8일(현지시간) 나왔다.
로이터 통신과 여론조사 기관 입소스가 이날까지 나흘간 미국 성인 1017명(표본 오차범위 ±3%포인트)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38%로 2기 집권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 |
|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 기지에서 대통령 전용 헬리콥터인 마린 원으로 향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뒷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는 이달 초 같은 조사 대비 2%포인트(p) 하락한 수치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할 당시 47%의 지지를 받았다. 올해 1월 이후로는 9%p 떨어진 이번 수치는 1기 집권 당시 기록했던 최저 지지율대와 비슷하며,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기록했던 최저치(35%)에도 근접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1기 집권기 최저 지지율은 33%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치 경력 내내 각종 위기를 겪었고, 2020년 대선 패배 뒤 이를 뒤집으려 한 시도와 관련한 다수의 기소도 받았다. 그럼에도 공화당 지지층의 충성도는 굳건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공화당 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조차 이달 초 87%에서 82%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올해 들어 부각된 장바구니 물가 문제가 지지율에 악영향을 끼쳤단 진단이다. 이 문제는 바이든 행정부 때도 큰 악재였고, 결과적으로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의 부통령이었던 카멀라 해리스를 꺾는 데 도움이 됐던 이슈이기도 하다.
공화당 정치 전략가 더그 헤이는 "모든 게 '가격' 문제"라며 "사람들은 장보러 갈 때마다 분노하고, 지출이 믿기지 않는다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소비자 물가 관리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이달 초 29%에서 하락한 수치다. 반면 생활비 관련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에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공화당 지지층의 3분의 1을 포함해 전체 65%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 경제정책은 미국 제조업을 지키겠다며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지만, 많은 경제학자는 이 정책이 물가 상승을 자극했다고 지적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경제 대응 평가가 악화하자 커피·쇠고기·바나나 등 주요 생필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완화하기도 했다.
엡스타인 사건도 트럼프 지지율에 부담이 됐다. 이번 조사에서 엡스타인 사건 처리에 대한 평가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전체의 20%였고, 공화당 지지층에서도 44%에 그쳤다. 응답자의 70%(민주당 87%, 공화당 60%)는 정부가 엡스타인의 고객 정보 등을 숨기고 있다고 믿는다고 답했다.
공화당이 장악한 하원은 전날 법무부의 엡스타인 관련 문서 공개를 강제하는 법안을 압도적으로 가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개월간 이에 반대해 왔고, 그의 핵심 지지자였던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은 트럼프의 저항을 강하게 비판하며 돌아섰고 트럼프 대통령은 의회가 단독으로 움직일 조짐을 보이자 지난 16일 입장을 번복했다. 상원은 이르면 19일 법안 표결에 나선다.
독립 전략가이자 과거 공화당원이었던 마이크 옹스타드는 "지금 상황은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 장악력에 관한 최대 시험대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wonjc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