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이 지난 14일 파주시에서 발생한 17만 가구 단수 사태와 관련해 행정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재난 대응 시스템 전면 개편을 촉구했다.
![]() |
|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 [사진=경기도의회] |
고 의원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단수는 파주시가 정상 기능을 유지하지 못한 전면적 재난이었다"며 "학교 급식 중단, 병원 및 요양시설의 위생 관리 차질, 다세대 주택의 급수 불능 등 생활 기반시설이 사실상 마비됐다"고 주장했다.
파주시 공식 발표에 따르면 14일 오전 6시에 고양 정수장에서 교하·월롱 배수지로 향하는 광역 송수관이 공사 중 파손되면서 대부분 지역에서 단수가 발생했다.
고 의원은 최근 수년간 반복된 2021년 침전물 사고, 2023년 탁수와 혼탁수 사고, 2025년 1월 관말부 침전물 사고와 이번 송수관 파손을 연결지으면서 "우연이 아니라 관리 부실과 사전 대비 부족에 따른 구조적 위험"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초기 대응 과정에서도 혼선이 발생했다. 단수 지역, 복구 시간, 식수 확보 방안 등 기본 정보가 시민에게 적시에 전달되지 않아 혼란이 일어난 것이다.
고 의원은 "이는 특정 개인 문제보다 재난 대응 체계, 부서 간 협업 구조, 상황 관리 조직 등 파주시 행정체계 전반의 실패"라고 강조했다.
최근 사고 직후 청암초등학교 인근에서 발생한 상수도관 누수 사고에 대해서도 고 의원은 "현장에 투입할 인력이 부족했고, 관리업체만 대응해야 했다"며 "이는 파주시 조직 전체가 위기 대응 구조를 갖추지 못한 명백한 증거"라고 밝혔다.
고 의원은 파주시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개선 방안으로 △재난 대응 종합상황실 상시화 △컨트롤타워 일원화 △상수도 전 구간 전수 점검 △행정 조직 및 인력 재배치 △의사결정 및 보고 체계 재정립 △정보 전달 실시간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했다.
그는 "파주시가 다시는 같은 사고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행정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설계해야 한다"며 "경기도의회 차원에서 끝까지 책임을 묻고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