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전 세계 어떤 나라도 보유 못한 무기" 주장… 실전 배치 준비 지시
15시간·1만4000㎞ 비행 성공 주장… 서방 미사일 방어망 회피 가능성 부각
미국 '골든돔' 구상에 맞불 해석도… 핵추진 기술 경쟁 재점화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러시아가 26일(현지시간) 핵추진 순항미사일 '부레베스트니크(Burevestnik)'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미사일은 사실상 사정거리가 무제한으로, 핵탄두를 탑재해 세계 어느 곳이든 타격할 수 있는 '혁명적 무기'라고 러시아는 주장했다. 부레베스트니크는 러시아 시인 막심 고리키의 시에 등장하는 '바다제비' 이름으로, '폭풍의 전령(傳令)', 즉 '폭풍을 알리는 새'를 뜻한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으로부터 시험 발사 성공을 보고받았다. 푸틴 대통령은 "실전 배치를 위한 핵심 과제가 달성됐다"며 "관련 기반 시설 준비를 시작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이 미사일은 전 세계 어느 나라도 보유하지 못한 독보적 무기"라고 주장했다.
![]() |
| 러시아가 26일 발사에 성공한 핵추진 순항미사일 '부레베스트니크(Burevestnik)'. 사정거리가 사실상 무제한으로, 핵탄두를 싣고 세계 어디든 타격할 수 있는 '혁명적 무기'라는 것이 러시아의 주장이다. [사진 출처=러시아 국방부] 2025.10.28 gomsi@newspim.com |
게라시모프 총참모장은 "부레베스트니크가 최근 시험 발사에서 약 15시간 동안 최소 1만4000㎞를 비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최신형 순항미사일 토마호크와 평균 속도(시속 약 933㎞)는 비슷하지만, 사정거리와 비행시간은 5배 이상 긴 수치다. 러시아는 이 미사일이 장시간 저공비행을 통해 서방의 미사일 방어망을 대부분 회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부레베스트니크는 초소형 원자로의 에너지를 이용해 공기를 가열·압축한 뒤 추진력을 얻는 '핵 추진' 방식을 채택했다. 이론적으로는 탑재한 핵연료에 따라 수일에서 수개월간 비행할 수 있다. 푸틴 대통령은 2018년 이 미사일의 개발 사실을 처음 공개하며 "사정거리가 사실상 무제한"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러시아는 같은 원리를 적용한 핵추진 어뢰 포세이돈(Poseidon)도 개발 중이다. 이와 달리 미국은 과거 유사 기술 연구에 착수했다가 방사능 오염 우려로 중단했다.
고리키의 시 '부레베스트니크의 노래'(Song of the Stormy Petrel)는 러시아 혁명문학의 대표작으로, 폭풍(혁명)을 예감하고 이를 두려워하지 않는 존재로 바다제비를 묘사한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취소되면서 체면을 구긴 푸틴 대통령이 부레베스트니크의 실전 배치를 공개 지시한 것은 미국을 향한 '정치적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온다.
![]() |
| 러시아의 신형 핵추진 순항미사일 부레베스트니크가 러시아의 한 군수 공장에서 제작되고 있는 모습. [사진 출처=러시아 국방부] 2025.10.28 gomsi@newspim.com |
푸틴 대통령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미국 중심의 일극 체제에서 벗어나 다극적 세계 질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포스트'는 유럽 군사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1월 골든돔(Golden Dome) 미사일 방어망 계획을 발표한 이후, 부레베스트니크의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 역시 냉전 시기 소련과 함께 핵추진 순항미사일 개발을 시도한 바 있다. 미사일 내부의 핵연료봉으로 공기를 가열·압축해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었지만, 당시 기술로는 방사능 오염 문제와 안정성 확보가 불가능했던 탓에 미국은 결국 개발을 중단했다는 것이 군사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미국은 '핵추진 방식' 자체를 적용한 순항미사일은 공식적으로 개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핵탄두를 탑재한 해상발사 순항미사일(Sea-Launched Cruise Missile, SLCM-N) 개발 사업에는 착수했다. 의회는 2024회계연도에 미사일 개발과 관련해 약 1억6000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했고, 실전배치는 2034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부레베스트니크처럼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삼은 '핵추진 미사일'이 아니라, 기존 추진체에 핵탄두를 장착하는 형태다. 미국은 러시아식 핵추진 미사일의 방사능 안전 문제와 비용효율성을 우려하며 해당 기술의 재도입에는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평가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