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위, 24일 산업부 대상 종합 국감 진행
용인 클러스터 인프라 부담·지역 갈등 우려
김정관 장관 "비수도권 가는 게 분명한 방침"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추진 계획을 두고 전력·용수 확보의 불확실성과 수도권 편중 우려 등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24일 산업통상자원부를 대상으로 종합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서왕진 조국혁신당 의원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과정에서 전력·용수 공급의 불확실성, 16기가와트(GW)에 달하는 전력 수요에 따른 송전망 부담과 지역 갈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 |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최근 한미 관세협상 진행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사진=국회 의사중계시스템] 2025.10.24 dream@newspim.com |
이어 그는 "정부가 약속한 '5극 3특 성장엔진'과 지방투자 촉진 정책 방향과 달리, 562조원이란 막대한 투자가 수도권에 집중된다면 균형발전 기조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며 "용인 중심의 전략이 아닌, 국가 단위의 분산형 반도체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용인 산단은 후보지 공모와 전력 관련 업무협약 등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며 "비수도권으로 가겠다는 것이 정부의 분명한 방침이다. 지역균형을 이번에 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구미는 반도체 소재, 부산은 실리콘카바이드(SiC), 광주는 패키징 중심으로 특화하고 있다"며 "정부의 5극 3특 전략은 지역균형발전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오는 2030년까지 전력망·용수 등 인프라가 완성될 수 있는지 묻는 질의에는 "현재 계획에 맞춰 진행 중이며,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완성되도록 추진하겠다"며 "전력·용수 관련 사항은 현실성과 갈등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답했다.
![]() |
|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조감도. [사진=뉴스핌 DB] |
r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