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 2차 보고서 발표
北 IT인력 8개국에 최대 2000명...중국에 가장 많아
각국의 군사·과학·에너지 관련 정보 및 기술도 탈취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북한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28억4000만 달러(약 4조원) 규모의 가상 자산을 탈취해 현금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이행을 감시하기 구성된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은 22일 대북 제재 위반 사례를 다룬 두 번째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북한이 지난해 탈취한 가상 자산의 규모는 11억9000만 달러(약 1조7000억원)로 지난해 북한의 외화수익 3분의 1에 해당한다. 올해는 탈취 규모가 더 커져 9월까지만 해도 16억5000만 달러(2조 3000억원)에 이른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지난해 10월 1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김홍균 외교부 1차관(가운데)이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전문가패널을 대체할 새로운 대북제재 감시 체계인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 의 출범을 발표하고 있다. 2024.10.16 yooksa@newspim.com |
보고서는 북한이 정권의 수익 창출 목적으로 사이버 활동 조직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같은 조직은 대부분 정찰총국, 원자력공업성, 군수공업부 등 유엔 제재 대상 단체 산하에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북한의 사이버 조직이 투자자·사업가·채용담당자 등으로 위장해 탈취 대상에 접근한 뒤 이들이 악성 소프트웨어를 내려 받도록 유도하는 수법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악성 사이버 활동 과정에서 러시아 랜섬웨어 조직 등과 협력하고 있으며, 랜섬웨어 공격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제 3자에게 판매하기도 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북한은 이같은 수법으로 탈취한 가상자산을 세탁해 중국·러시아·홍콩·캄보디아 등에 있는 해외 브로커들을 통해 현금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금화 과정에는 중국 국적자나 중국 금융 시스템이 상당 부분 관여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인 납치·감금 등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캄보디아의 기업형 범죄조직도 자금 세탁과 현금화 과정에 개입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북한 해외 IT인력들은 중국, 러시아, 라오스 등 최소 8개국에 약 1000~2000명이 체류 중이며 중국에만 10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미국·독일·포르투갈·영국 등의 AI, 블록체인, 방위산업 관련 일감을 수주하면서 지난해 기준 3억5000만∼8억 달러 수준의 소득을 창출했으며 소득의 절반 가량을 북한에 송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은 사이버 공격으로 가상 자산뿐 아니라 미국·영국·한국은 물론 중국 등의 군사·과학·에너지 관련 정보와 기술도 탈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서는 북한 해커들이 보안인증 소프트웨어를 통해 한국 사이버 기반 시설 침투를 시도하거나 악성코드 유포를 통한 한국 건설 분야 정보 수집, 중국 드론업체 DJI 연구 정보 탈취, 한국 방산 분야 정보 절취, 한국 대북 관계자 정보 절취 등을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
다국적제재모니터링팀(MSMT) 홈페이지 |
MSMT는 보고서와 함께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모든 유엔 회원국이 북한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제재 등을 통해 관련자들에게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을 장려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우리는 안보리가 전문가패널을 해체 이전과 같은 권한과 구조로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며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이행을 감시하고, 계속되는 제재 위반 및 회피 시도를 밝혀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MSMT는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 산하 전문가패널이 지난해 4월 해체된 이후 대북제재 감시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 한국·미국·일본 등 서방 11개국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난해 10월 출범한 감시 기구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