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종면 의원 "유출 조회 서비스 부정확…SK텔레콤보다 대응 늦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김영섭 KT 대표가 최근 발생한 불법 기지국(펨토셀)을 통한 고객 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해 "현재 보유 중인 데이터 범위 내에서는 추가 피해자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21일 김영섭 대표는 이날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노종면 의원의 질의에 "전수 데이터를 모두 확인했으며, 그 안에서는 더 나올 수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김 대표는 "저희가 보유한 데이터는 지난해 8월 1일 이후의 것으로, 그 이전 시점으로는 확인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 |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현장. [사진=국회방송] |
노 의원은 이애 대해 "KT의 초기 대응과 사후 대응 모두 부실했다"며 "KT는 피해 규모를 처음 발표한 9월 11일, 마이KT 앱을 통해 고객이 유출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열었지만 이후에도 추가 피해가 발생했다. 정확하지 않은 서비스를 서둘러 시행해 고객들을 안심시켰다"고 지적했다.
또 "지난해 4월 SK텔레콤 해킹 사고 당시 KT는 KT는 안전하다는 식의 마케팅을 벌였지만, 정작 자사 사고 때는 7일 이상 신고가 지연되고 피해 인지까지 11개월이 걸렸다"며 "SK텔레콤이 이틀 만에 신고하고 사흘 만에 전 고객에게 안내문자를 보낸 것과 대조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 대표는 "고지 불충분 부분은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추가적인 고객 안내와 재발 방지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노 의원은 또 "SK텔레콤은 해킹 직후 8일 만에 유심(USIM) 교체를 시작했지만 KT는 아직 교체 사례가 없다"며 "현재 확보한 유심 물량도 90만 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현재 250만 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다"며 "11월 말까지 추가 200만 개를 발주해 총 400만~450만 개 수준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