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경제

속보

더보기

[GAM]전기차 출시하는 '中 징둥'② 빅테크 車시장 진출 본격화

기사입력 : 2025년10월17일 07:00

최종수정 : 2025년10월17일 07:0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中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 자동차 시장 진출
'GAC 제조+CATL 배터리+징둥 판매' 3자 합작
징둥 출사표로 빅테크 新격전지 된 자동차 산업

이 기사는 10월 16일 오후 4시1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전기차 출시하는 '中 징둥'① 빅테크 車시장 진출 본격화>에서 이어짐.

◆ 中 빅테크 新격전지, 자동차 시장 본격 진출

징둥(京東∙JD닷컴 9618.HK)의 자동차 시장 진출을 두고 일각에서는 이를 빅테크의 자동차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는 중대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있다. 

현재 빅테크들이 자동차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직접 제조' 외에 여러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크게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연구개발에서 제조에 이르는 전 밸류체인에 직접 참여 : 샤오미(小米 1810.HK)가 대표적이다. 강력한 브랜드 파워와 성숙한 소비전자 제품 시장 업력은 강점이 될 수 있는 반면, 중자산 모델(고정자산+큰 투자규모+긴 수익회수 주기)을 채용해 비교적 큰 리스크가 따르고, 생산 자질과 공급망 경쟁 등에서 적지 않은 압박에 직면할 수 있다는 잠재적 약점을 보유하고 있다.

② 기술 지원, 완성차 제조사와 합작을 통해 공동 개발 : 화웨이(華為)가 대표적이다. 직접적으로 자동차 제조에 개입하지 않고, 장기적인 기술 지원자로서 완성차 제조사에게 전방위적인 스마트 자동차 솔루션 제공하는 역할에 집중한다. 기술 공급사로서 화웨이 브랜드의 영향력과 최종 제품 경험은 여전히 협력 완성차 제조사 제조 능력과 깊이 연결돼 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드러난다.

화웨이는 산하의 자동차 드라이빙 기술 연구개발 전담업체 훙멍즈싱(鴻蒙智行∙HIMA∙Harmony Intelligent Mobility Alliance)을 통해 현재까지 완성차 제조업체들과 다섯 번째 '계(界, 중국어 발음으로 제)' 시리즈의 전기차 브랜드를 런칭했다.

구체적으로 △중국 전기차 제조사 세레스(SERES·새력사집단 601127.SH)이 공동 런칭한 원제(問界∙AITO) : 출시 모델(M5, M7, M8, M9) △중국 국영 완성차 제조업체 치루이(奇瑞∙CHERY)와 공동 개발한 즈제(智界∙LUXEED) : 출시 모델(S7, R7) △북경자동차(BAIC 1958.HK) 산하의 전기차 개발 전담업체 베이징자동차엔펑(北汽藍谷∙베이치란구 600733.SH)과 공동 개발한 헝제(享界·STELATO) : 출시 모델(S9, S9T) △중국 국영 완성차 제조업체 안휘강회자동차(江淮汽車·JAC 600418.SH)와 공동 개발한 준제(尊界·MAEXTRO) : 출시 모델(S800) △ 중국 국영 완성차 제조사 상하이자동차(上海汽車·SAIC 600104.SH)와 공동 개발한 상제(尚界·SAIC) : 출시 모델(H5)가 그것이다.

이와 함께 중국 국유 자동차 제조사 창안자동차(長安汽車 000625.SZ)와 공동 런칭한 전기차 브랜드 아바타(阿維塔∙AVATR), 베이징자동차엔펑과 합작해 개발한 아크폭스(極狐∙ARCFOX) 등의 브랜드도 화웨이 계열 자동차 브랜드로 분류된다.

③ 플랫폼 지원, 생태계 공동 구축 : 징둥이 대표적이다. 6억명 이상의 소비자 데이터 강점을 활용해 생태계 통합을 이루는데 유리한 반면, 경자산 모델(무형자산+적은 투자규모+큰 유연성과 변동성) 하에서 제조와 품질 통제력에 한계가 있으며 다자협업 시 권한과 책임 소재가 불명확하다는 잠재적 약점도 갖고 있다.

④ AI 기술 구동 : 중국 대표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ByteDance∙字節跳動)가 대표적이다. 바이트댄스는 산하의 클라우드∙AI 서비스업체 볼크엔진(火山引擎∙volcengine)을 통해 차세대 스마트 자동차 산업의 핵심인 AI기술에 집중, 자동차에 강력한 '두뇌'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역할로 하여 자동차 시장에 진출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0.16 pxx17@newspim.com

중국 디지털경제 정보∙데이터 제공업체 망경사(網經社)의 전자상거래연구센터 차오레이(曹磊) 주임은 "이번 3자 합작에서 징둥이 맡는 역할은 화웨이와 비슷하다. 모두 전통적 완성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데이터(시스템), 온∙오프라인 판매채널 등 일부 자원만 제공할 뿐 샤오미처럼 완성차 연구개발과 제조의 핵심 단계까지 관여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현재 샤오미를 제외하고 대부분 빅테크들은 자동차 제조에는 관여하지 않고 기술과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 자동차 시장에 첫 발을 내디딘 상태다. 

알리바바(9988.HK)는 지난 2020년 12월 25일 상하이자동차, 부동산 개발 및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장강하이테크(張江高科 600895.SH)와 공동으로 스마트 전기차 브랜드 즈지자동차(智己汽車∙Immotor)를 런칭했고, 가장 먼저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개발에 뛰어든 바이두(9888.HK)는 2021년 3월 바이두와 지리자동차(吉利汽車∙GEELY, 0175.HK)와 함께 신에너지차 브랜드 지두자동차(集度汽車)를 런칭했다.

자동차 밸류체인의 후방산업인 애프터마켓(자동차 부품 교체∙정비 시장)을 통한 진출 행보도 눈에 띈다.

바이트댄스는 자동차 정보 컨설팅 및 중고차 거래에 관여하는 자회사 '둥처디(懂車帝)'가 출시한 자동차 정비 서비스 브랜드 '둥둥양처(懂懂養車)'를 통해 수조 위안 규모의 자동차 애프터마켓으로 뛰어들었다. 알리바바는 '톈마오양처(天貓養車∙티몰양처)' 자동차 정비 서비스 브랜드를 운영 중이며, 2024년 12월 기준 전국 매장 수는 2500개를 넘어섰다. 

[사진 = 티몰양처 공식 홈페이지] 알리바바 산하의 자동차 정비 서비스 브랜드 '톈마오양처(天貓養車∙티몰양처)' 매장 전경.

중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리서치(艾媒咨詢)의 장이(張毅) 최고경영자(CEO) 겸 수석 애널리스트는 "빅테크의 진입으로 자동차 시장이 더욱 활기를 띠는 동시에, 경쟁 또한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면서 "자동차 산업의 밸류체인이 점점 더 성숙해지고, 모듈화·표준화가 이루어지면서 향후 시장에서 더 많은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장 애널리스트는 "징둥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신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면서 "징둥은 새로운 사업과 제품, 즉 비교적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진출함으로써 마케팅 규모와 수익 규모를 확대하려 하고 있으며, 이는 징둥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 출시하는 '中 징둥'③ 빅테크 車시장 진출 본격화>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로제· 케데헌, 그래미 '올해의 노래' 후보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블랙핑크 멤버 로제와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골든'이 2026년 그래미 어워즈 '올해의 노래(Song of the Year)' 부문 후보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7일(현지시간) 발표된 제68회 그래미 어워즈 후보 명단에 따르면 로제는 솔로 곡 '아파트(APT)'로 '올해의 노래'와 함께 '레코드 오브 더 이어(올해의 음반상)' 부문에 올랐다. K-팝 솔로 아티스트가 그래미 어워즈 두 개의 메이저 부문에 동시에 노미네이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뉴스핌]  oks34@newspim.com '케데헌'의 '골든' 역시 '올해의 노래'를 포함하여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등 총 5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미국의 피치포크 등 전문 매체는 영화의 OST 곡이 메이저 부문 후보에 오른 것도 드문 사례라면서 "K팝 콘텐츠의 확장성과 영향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평가했다. 포브스는 '로제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그래미에서 K-팝의 역사를 쓴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로제가 수상에 성공할 경우 그래미 역사에서 K팝이 처음으로 메이저 부문을 돌파하게 된다"며 "이는 한국 음악 산업 전체에 상징적인 사건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제68회 그래미 어워즈는 내년 2월 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크립토닷컴 아레나에서 열린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8 04:58
사진
트럼프, 비만 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위고비'를 판매하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와 '젭바운드' 제약사인 미국 일라이 릴리와의 합의를 통해 비만 치료제 가격을 월 250~350달러 수준(35만원~50만원)으로 대폭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월 1천 달러(약 145만 원) 이상에 판매되던 약가가 절반 이하로 낮아지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는 미국 환자에게 '최혜국가 기준' 가격을 적용하기로 합의했다"며 "위고비는 1천350달러에서 250달러로, 젭바운드는 1천80달러에서 346달러 로 내려간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위고비 등 비만약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11.07 kckim100@newspim.com 이번 조치는 메디케어(65세 이상·장애인)와 메디케이드(저소득층) 가입자에게도 적용된다. 정부 부담이 반영될 경우 환자 본인 부담금은 월 50달러 이하로 떨어질 전망이다. 저소득층 메디케이드 가입자는 사실상 무료 또는 저가로 약을 처방받게 된다. 백악관은 또 연내 '트럼프알엑스(TrumpRx.gov)'라는 직구 플랫폼을 개설해, 미국 소비자가 제약사로부터 직접 비만 치료제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자비로 약을 구입하는 미국인들은 위고비·젭바운드를 월 500달러 수준에 구매해왔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245달러 수준까지 추가 인하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뚱보 약'이라고 부르는 이 약들은 매우 효과적이며 이미 수백만 명이 사용하고 있다"며 "이 약들은 생명을 구하고 미국인의 건강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세계 인구의 4%뿐이지만 글로벌 제약사의 75% 수익을 내주고 있다"며 "관세 압박을 통해 약가를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들이 미국에서만 바가지를 씌우는 시대를 끝내겠다"며 "이번 약가 인하가 그 신호탄"이라고 말했다.  이번 합의에는 곧 출시될 위고비·젭바운드 '알약 형태(경구용)' 약가도 포함됐다. 최저 용량 기준 월 150달러가 적용되며, 출시 즉시 메디케어·메디케이드에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급여가 이뤄진다. 노보 노디스크는 고용량 경구제 위고비의 FDA 승인 심사를 받고 있으며, 일라이 릴리도 '오르포글립론'이라는 비만·당뇨 경구제를 연내 승인 신청할 예정이다. 그동안 미국 내 건강 보험 상당수는 여전히 비만 치료 목적의 약가 지원을 제한해 왔으며, 이 때문에 '부자만 살 빠지는 약'이라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kckim100@newspim.com 2025-11-07 03: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