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집으로 돌려줘야" 성토장 된 주민설명회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 북구 중흥동 주민들이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주택 균열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며 보상 대책을 요구했다.
광주시는 15일 중흥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도시철도 2호선 6공구 공사 인근 주택에 대한 정밀안전점검 주민설명회를 개최됐다.
![]() |
도시철도 2호선 6공구 공사 인근 주택에 대한 정밀안전점검 주민설명회. [사진=박진형 기자] |
정밀안전점검은 광주시가 피해 주민의 요청에 따라 실시했으며 지난 7월 21일부터 9월 18일까지 중흥삼거리 일대 13개 건축물을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주택 11곳은 즉시 사용을 금지해야 하는 E등급, 2곳은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D등급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은 전적으로 지하철 공사 때문이라고 보는 반면, 광주시는 정밀안전점검 용역 보고서를 토대로 건물 노후화(최소 45년 경과), 지반 약함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해당 보고서는 건물의 안전 상태를 살피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원인에 대한 과실 비율은 제시되지 않았다.
다만 지난해 실시한 공사손해보험의 손해평가 결과에 따르면 광주시 책임 비율은 최소 30%대에서 최대 50%로 조사됐다.
주민 A씨는 "현재 건물이 폐차 상태가 됐는데 99%는 도시철도공사, 1%가 건물 노후화로 인한 것으로 본다"며 "공사를 했기 때문에 건물 균열이 발생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B씨는 "주택 13곳이 D~E 등급이 나왔는데, (공사 영향을 받지 않은) 인근에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누후화된 주택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해 비교해 보면 도시철도 공사 때문이라는 원인이 밝혀지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C씨는 "지하철 공사 때문인 것으로 이미 증명이 됐으므로 원인을 두고 다툴 필요 없다"며 "집을 고칠 건지 새로 지을 건지 등 추후 보상 대책을 집중 논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손해사정사가 보상금으로 570만원이 나올 거라고 얘기해 줬다"며 "제발 우리 집 해결해 달라. 제대로된 보상을 원한다"며 "따듯한 집으로 빠른 시일 내에 돌아가고 싶다"고 애원했다.
광주시 측은 "지하철 공사에 따른 피해에 대해서는 공사손해보험이라는 제도를 통해서 보수공사비를 포함해 영업 손실, 정신적 피해 등을 지원하고 있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다만 "손해보험금에 불복이 있을 경우 환경부 소속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배상 조정 신청에 따른 사무 업무, 금전적 지원까지 약속했으나 주민들이 원치 않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대피 명령에 따라 모텔 등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임시로 지낼 수 있는 아파트 26호실을 확보했다. 안전을 위해 빠른 이주를 부탁드린다"며 "주민과 소통을 최우선으로 현장 관리가 중단되지 않도록 지속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