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22개 건물 에너지 등급 공개, 자발적 참여 증가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오는 15일 오전 9시 저탄소건물지원센터 누리집에 2025년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의 최종 평가 결과를 공개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6322개 동의 공공·민간건물 중 5987개 동에 대한 등급 평가를 완료했다.
사업에는 서울 소재 건물 1만5000여 동 가운데 6322개 동(공공 3331개 동, 민간 2991개 동)이 참여했으며, 2024년도 준공 등 일부 평가가 불가한 건물을 제외한 수치다.
![]() |
2025년 건물 에너지사용량 등급평가 결과 [자료=서울시] |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는 지난해 서울시가 전국 처음 도입된 제도로, 건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약 70%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관리자는 자율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신고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울시가 A부터 E까지 5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이번 평가된 건물 중 92.2%는 A~C 등급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산업통상부의 '관리 목표'인 B등급 이상은 53.4%로, 2년 연속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등급인 C등급의 비율도 38.8%로 유지됐다.
시는 건물의 자발적인 참여가 증가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전체 건물 중 약 42%인 6322개 동이 이번 등급 평가에 신청했으며, 이는 지난해에 비해 약 1.5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민간의 참여 건물이 약 2배(2024년 1510개 동→2025년 2991개 동) 증가한 것은 시민들의 기후 위기에 대한 인식 변화로 해석된다.
또 올해 83%에 해당하는 4986개 동은 등급 공개에 동의했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약 1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등급은 건물의 주 출입구에 게시돼 이용자에게 에너지 사용 현황을 알리는 데 활용된다.
시는 에너지 소비량이 낮은 A~B등급의 건물에 대해 올해 12월 중 '서울형 저탄소 우수건물'을 선정해 시상할 예정이며, D~E등급 건물은 실태 조사 후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무료 전문가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권 민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의 온실가스 약 70%가 건물에서 발생하는 만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건물 에너지 사용량 감축이 필수적"이라며 "6322개 동의 건물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은 민간과 지자체가 함께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좋은 사례"라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