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원달러 현물환 기준 '역내' 외환시장만 인정
기재부, 국내 외환시장 개장시간 24시간 연장 추진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종합 로드맵' 발표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시장 저평가)' 해소를 위해 외환시장 구조 개선을 주문했다.
정부는 외국인 투자자의 접근이 쉽도록 국내 외환시장 개장시간을 24시간 연장하고, 역외 원화결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6일 기재부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원달러 현물환 기준 '역내' 외환시장만 인정하고 있다.
![]() |
국내 외환시장과 글로벌 외환시장 현황 비교. [자료=기획재정부] 2025.09.26 plum@newspim.com |
정부 인가를 받은 국내 중개회사 2곳을 통해 거래해야 하며 참가기관은 인정된 금융기관으로 제한하고, 개장시간 오전 9시부터 새벽 2시까지 한정됐다.
과거 외환위기 트라우마 등으로 인해 외국인 간 원화거래를 사실상 금지함으로써, 역외 외환시장 형성을 의도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측면이다.
그러나 현행 체계는 외국인의 원화거래 접근성이 저해되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편입 논의에서 부각되며 편입 전망이 약화하고 있다.
MSCI 지수는 미국 MSCI, Inc가 발표하는 글로벌 주가지수로 미국·유럽 등 글로벌 펀드의 벤치마크로 활용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발전 수준, 시장규모 및 유동성 측면에서는 MSCI 선진시장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시장접근성 제약을 이유로 여전히 신흥시장으로 분류된다.
이에 정부는 국내 외환시장을 24시간 운영체제로 확대해 미국 투자자 등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 공백을 상당 부분 해소하고, 외국인의 원화거래 불편을 실질적으로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외국인 국내증권 잔액은 지난해 말 8000억 달러(한화 1127조원) 로 집계됐다. 국가별 비중은 미국이 28.9%로 최다를 차지했다. 동남아(22.1%), 유럽연합(15.2%)이 뒤를 이었다.
동시에 24시간 연장 시 충분한 거래량 확보를 위해 외국인 원화거래 기반을 정비한다.
일례로 외국 금융기관이 국내에 원화 계좌를 두고, 이를 통해 원화를 직접 운용할 수 있도록 가칭 '역외 원화결제 기관' 제도를 도입한다.
![]() |
역외 원화결제 시스템. [자료=기획재정부] 2025.09.26 plum@newspim.com |
외국인 간 원화거래와 보유(예금) 조달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한다는 뜻이다.
여기에 외국 금융기관간 야간시간에도 원화결제가 가능하도록 한국은행에 24시간 결제망 '역외 원화결제망'도 신규로 구축한다.
현재 선진국 통화의 역외 거래도 마찬가지로 중앙은행을 통해 최종 결제된다.
다만 현재 한국은행 결제망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만 운영해 야간 결제에 한계가 있었다.
기재부는 외환시장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포함한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종합 로드맵'을 연내 발표하고 적극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25일(현지 시각)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열린 '대한민국 투자 서밋' 행사를 마친 뒤 페이스북을 통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종합 로드맵'을 연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 자본 시장에 투자하는 전 세계 투자자들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걱정하지 않고, '코리아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대한민국 투자 서밋' 행사에서 "아직 대한민국 시장이 모건스탠리 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것이 매우 아쉽다"며 "우리의 준비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그중 핵심이 역외 환거래 시장 문제라고 들었다. 그 문제도 빠르게 해소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 |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열린 동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9.24 photo@newspim.com |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