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실장, 미국 뉴욕 현지 언론 브리핑
"3500억달러 협상 현황·한국 입장 설명
APEC 정상회담 계기 가속화 진전 예상
통화 스와프 타협점 찾을 것으로 기대해
비자제도 개선도 초당적 지지 견인 노력"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박찬제 기자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3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의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한 이번 미국 뉴욕 방문을 계기로 한미 간 후속 관세협상과 비자제도 개선에 대해 미 측에 적극 설명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위 실장은 이날 밤 뉴욕 현지 언론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의 미 의회 상·하원 의원단 면담 내용을 설명하면서 "미 여야 의원들이 있었고 대화를 통해 서로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한국 입장에서도 좀 더 잘할 수 있도록 설명한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위 실장은 미 상·하원 의원단에 "(한국의 대미 투자) 3500억 달러(486조원)를 둘러싼 협상 현황과 한국의 입장을 설명했다"면서 "한국 입장에서 어떤 점에서 어려운 점이 있는지 포괄적으로 설명했다"고 말했다.
![]() |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상·하원 의원단을 만나 한미 간 후속 관세협상 과정에서 '상업적 합리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오는 10월 말, 11월 초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방한과 관련해 위 실장은 "APEC 계기 한미 정상회담이 예상되고 그러면 당연히 정상회담 계기로 여러 현안 진전이 따라오게 된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한국 정부는 그러한 것도 염두에 두고 있으며 관세협상도 포함된다"면서 "지금 다시 협의를 가속화해서 진전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지금 한미 간 세부 사항에 있어 이견이 많지만 접점을 찾아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기대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유엔 총회 참석 계기로 한미 간 후속 관세협상과 관련해 양국 재무라인 가동 가능성에 대해 위 실장은 "그럴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고 여지를 남겨뒀다.
위 실장은 "두고 봐야하겠지만 여러 채널로 소통하며 관세·무역 협상 전반에 있어 한국 입장을 전달하고 있어 그 맥락에서 재무 라인도 가동될 수는 있다"면서 "외교·안보 분야와 함께 다음(10월 말 APEC) 한미정상회담 계기에 진전을 보일 수 있도록 한미 간 접점을 찾아 나가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미 간 관세협상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무제한 통화 스와프' 체결을 제안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위 실장은 "통화 스와프 문제도 개인적으로는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23일(현지시간) 밤 미국 뉴욕 현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재명 대통령의 유엔 총회 참석 계기 한미 간 관세협상과 비자제도 개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KTV] |
위 실장은 "지금 물론 입장차가 크고 견해를 조정하는 일이 쉽지는 않지만 불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한국이 취하고 있는 입장이 무리하거나 억지성 입장도 아니고 한국이 처한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고 있고 합리적인 입장을 얘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서로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가급적 빨리 타결하는 게 좋다고 본다"면서 "관세가 지금 부과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의 활동을 안정시키고 예측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타결점을 찾는 것이 좋다"고 거듭 강조했다.
위 실장은 "(한미 간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그게 APEC 계기이면 좋겠고 사실은 한미 정상회담 계기에 맞춰서만 타결하라는 법은 없다. 타결이 되면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정상회담도 시야에 두고 그 전에라도 접점을 찾으면 타결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미 상하원 의원단 면담과 외교안보 오피니언 리더와의 만찬에서 최근 현안이 된 미국의 비자제도 개선과 관세협상에 대한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이를 통해 한미관계 발전에 대한 미 의회와 조야의 폭넓은 지지를 확보하고, 특히 비자제도 개선과 관련한 초당적 지지를 이끌어 내고자 했다"고 성과로 설명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