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도전 과제를 기회 만들어야...현대차 DNA 있어"
"현지 생산 확대...韓 생산 이전하지 않는다"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관세라는 도전 과제를 새로운 기회로 삼아 현대차의 회복력을 강화됐다"고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The Shed)'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마친 뒤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 |
미국 뉴욕에서 언론 간담회하고 있는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최고경영자(CEO) 사장. [사진=현대차 제공]2025.09.21 kckim100@newspim.com |
그는 미국 정부가 부과하고 있는 25% 관세와 관련해 "비용 최적화와 생산 믹스 조정, 노조 협의 등을 통해 방어에 성공하고 있다"며 "관세 25%를 가정한 재정비 가이던스를 마련한 만큼, 만약 15%로 인하된다면 기존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관세 압박을 피하기 위해 미국 내 투자를 늘리고 현지 생산을 강화하는 것과 관련, "한국에서 생산하지 않았던 모델을 현지에서 만드는 것일 뿐 한국 내 생산을 이전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울산공장 생산 능력도 20만 대 확대하는 만큼 한국 공장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2030년까지 생산량을 30% 늘려 555만 대를 달성하겠다"며 "제네시스도 현재 연 22만 5천 대에서 35만 대로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15%를 적용받는 일본 자동차 관세와의 격차로 인한 불리한 경쟁 환경에 대한 우려에 대해 무뇨스 사장은 "관세 자체보다 더 좋은 제품과 기술, 품질로 대응하는 것이 해법"이라며 "현대차는 경쟁적인 환경에서 성과를 내는 DNA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가격 정책과 관련해서도 그는 "관세보다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따라 대응하는 게 맞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서 대형 SUV·픽업 등 신규 세그먼트 진출에 대해 "경쟁사들이 두려워하는 영역에서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라며 "제조·엔지니어링·운영 역량이 탄탄한 현대차의 강점을 살려 성과를 낼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무뇨스 사장은 또 지난해 취임 이후 맞닥뜨린 미·중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정세 불안 등 복합 위기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면서 "정의선 회장의 명확한 가이던스와 임직원들의 노력 덕분에 글로벌 시장에서 자랑스러운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노란봉투법 도입에 따른 투자자 우려와 관련한 질문에 이승조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CFO) 부사장은 "투자자와 해외 상공회의소에서도 우려가 제기됐다"며 "입법이 된 만큼 기업이 법을 지키며 최선을 다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