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용석 문화스포츠 부장 = 한때 온 가족을 TV 앞으로 불러 모으며 시름을 잊게 했던 예능 프로그램들이 힘을 잃고 있다. "요즘 볼 게 없다"는 시청자들의 푸념은 더 이상 일부의 투정이 아닌, 시청률 하락이라는 냉정한 수치로 증명된다. 먹방, 집 자랑, 인맥 과시 없이는 프로그램을 만들지 못하고, 10년, 20년째 같은 얼굴만 등장하는 '그들만의 리그'에 시청자들은 피로감을 넘어 소외감마저 느끼고 있다.
2000년대 초반, 공개 코미디와 스튜디오 토크쇼가 주류를 이루던 예능계에 2005년 MBC '무한도전'의 등장은 한국 예능의 역사를 새로 썼다. 정해진 대본 없이 출연자들의 관계와 상황에 집중하는 '리얼 버라이어티' 시대의 개막이었다.
![]() |
식상한 예능 프로그램들로 인해 시청자들이 이를 외면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
뒤이어 KBS '1박 2일'은 야외 리얼 버라이어티의 성공 계보를 이으며, 아름다운 대한민국의 풍광 속에서 벌어지는 복불복 게임과 멤버들의 케미로 주말 저녁의 상징이 되었다. 이 시기 예능의 핵심은 단연 '캐릭터'와 '관계'였다. 유재석, 강호동이라는 강력한 리더를 중심으로 박명수, 이수근, 은지원 등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출연자들이 서로 부딪히고 화합하며 만들어내는 이야기에 시청자들은 열광했다.
2010년대에 들어 예능은 또 한 번의 변곡점을 맞는다. 제작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출연자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관찰 예능'이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한 것이다. MBC '나 혼자 산다', SBS '미운 우리 새끼' 등이 그 대표 주자다.
초기 관찰 예능은 스타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이면을 조명하며 시청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공감을 얻는 데 성공했다. 혼자 사는 연예인의 짠한 일상이나 다 큰 아들을 걱정하는 어머니들의 모습은 신선한 재미를 선사했다. 그러나 성공 공식이 등장하자 방송가는 너도나도 관찰 예능 제작에 뛰어들었고, 연예인의 집, 차, 취미부터 자녀, 부부 생활까지 사생활의 모든 영역이 예능의 소재가 되기 시작했다.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됐다. 관찰 대상인 연예인들의 삶이 평범한 시청자들의 현실과 점차 괴리되기 시작한 것이다. 화려한 집, 고가의 취미 생활, 그들만의 인맥 자랑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시청자들은 재미보다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리얼'을 표방했지만, 실상은 잘 짜인 각본과 설정 속에서 이상적인 모습만 보여주는 '가짜 리얼'이라는 비판도 고개를 들었다. 어느덧 예능은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닌, '그들이 사는 세상'을 엿보는 창으로 변질되었다.
여기에 OTT와 유튜브라는 강력한 경쟁자의 등장은 방송 예능의 위기를 가속했다. TV보다 규제에서 자유롭고, 한층 솔직하고 '날것'의 재미를 추구하는 웹 예능 콘텐츠로 젊은 시청자층은 빠르게 이동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방송사들은 과거의 성공작을 재탕하는 안일한 기획을 반복하며, '먹방, 여행, 연애'라는 세 가지 키워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식상한 아이템만 양산하고 있다.
창의성을 잃어버린 기획과 '그들만의 리그'로 굳어진 출연진 속에서 웃음과 위로를 주던 예능의 본질이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