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사건, 5561명 정보 유출·278건 피해
불법 장비 이용, 대규모 소비자 정보 유출
통신·금융 범죄 증가, 대응 시급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남부경찰청이 최근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 등지에서 발생한 KT 휴대폰 부정결제 사건의 핵심 용의자 2명을 잇따라 검거했다.
![]() |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사진=뉴스핌 DB] |
17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2시3분께 인천국제공항에서 주범격인 A씨(48)를 체포했다.
A씨는 범행 당시 불법 소형 기지국 장비를 차량에 싣고 피해 발생지 인근을 운행하며 신호를 가로채는 방식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이 과정에서 A씨가 사용한 불법 장비도 압수했다.
이어 같은 날 오후 2시53분께 서울 영등포에서 부정결제로 취득한 상품권을 현금화하는 과정에 가담한 공범 B씨(44)를 추가 검거했다.
경찰 관계자는 "도주 및 증거 인멸 우려가 크다고 판단해 A씨와 B씨 모두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할 예정"이라며 "정확한 범행 동기와 경위, 추가 공범 여부를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또한 A씨와 B씨를 상대로 정확한 범행 동기와 조직적 배후가 있는지 집중 추궁하고 있다. 특히 불법 장비의 입수 경로, 추가 범행 여부, 해외 조직과의 연계 가능성까지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KT 부정결제 사건은 최근 증가하는 '통신-금융 융합 범죄'의 전형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보이스피싱, 스미싱에 이어 불법 기지국을 활용한 신종 수법까지 등장하면서,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 한 시민단체는 "통신사 결제 시스템은 소비자 편의성 측면에서 빠르게 확산됐지만, 보안 취약성에 대한 검증은 상대적으로 소홀했다"며 "정부 차원의 점검과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전문가들 역시 초소형 기지국을 악용한 신종 해킹 수법이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 KT의 문제만으로 단정 지을 수 없으며 정부의 조사와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KT 휴대폰 부정결제 사건은 지난 8월 말부터 9월 초 사이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해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KT에 따르면 현재까지 파악된 소액결제 피해건수는 278건, 피해금액은 1억7000만원에 달한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KT 가입자 1만9000명 가운데 5561명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유출된 정황도 확인됐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