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과제 153개…AI·바이오 등 142억 집중
테스트베드서울·약자기술R&D에 96억 투입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2025년 '서울형 R&D 지원사업' 신규과제 153개를 최종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총 294억 원을 투입해 기술 개발부터 실증, 사업화, 글로벌 진출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지원을 이어간다.
'서울형 R&D 지원사업'은 2005년부터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산업 활성화를 견인해 온 서울시의 대표 연구개발(R&D) 지원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총 410억 원(신규 294억 포함)을 투입해 인공지능(AI), 바이오, 로봇, 양자 기술 등 6대 신성장산업을 중심으로 기술개발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지는 완결형 지원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시는 덧붙였다.
![]() |
서울형 R&D 지원 [포스터=서울시] |
이번 공모에는 총 1186개 과제가 접수돼 평균 7.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이 중 6대 신성장산업(AI·바이오·양자·로봇·핀테크·창조산업) 분야 71개 과제에 142억 원이 집중 지원된다.
분야별로는 ▲인공지능 22개(44억 원) ▲바이오·의료 19개(38억 원) ▲양자기술 10개(20억 원) ▲로봇 4개(8억 원) ▲창조산업 9개(18억 원) ▲핀테크 7개(14억 원)다.
무엇보다 기술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 속에서 AI와 바이오·의료 분야는 각각 9.7대 1, 10.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초기 핵심 기술 도약을 지원하는 '서울혁신챌린지'는 20.8대 1의 경쟁률로 전체 분야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선정된 과제 중에는 '에이비스(AIVIS)'의 AI 기반 정밀 암 진단 기술과 '㈜안전집사'의 AI 부동산 계약 평가 플랫폼 등이 포함됐다. 이들 기업의 향후 기술 고도화·시장 성과가 주목된다.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프로젝트도 다수 포함됐다. '테스트베드서울'에는 38개 과제를 선정해 74억 원을 지원하며, 약자기술 R&D에 11개 과제, 22억 원을 투입한다. 의료 분야의 '㈜에스엠디솔루션'과 정신건강 관련 '㈜인터사이터'의 각 과제는 혁신기술을 통한 약자동행의 가치 실현이 기대된다.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 지원도 강화한다. 시는 '서울혁신챌린지'와 '민간투자연계 R&D' 등 33개 과제에 56억 원을 배정하고, 기술보증기금 연계형 R&D를 통해 기업이 최대 36억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주용태 경제실장은 "기술경쟁력이 곧 도시경쟁력인 시대, 서울형 R&D는 기술개발부터 실증, 사업화, 글로벌 진출까지 전 과정을 촘촘히 연결해 기업의 성장을 빠르게 견인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민간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기술이 시민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더욱 가속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