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7일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 발표
2017년부터 수도권 순유입…작년 순이동 4만여명
청년층, '직업·교육' 찾아 순유입…'가족' 인해 순유출
중장년층, '자연 환경·주택·직업' 사유로 순유출 택해
청년층 순유입 1위 '전주'…중장년 순유출 1위 '아산'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수도권 인구 이동이 지난 20년간 뚜렷한 양극화 흐름을 보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19~34세)은 일자리와 교육을 좇아 꾸준히 수도권으로 몰려든 반면, 중장년층(40~64세)은 가족·자연 환경을 이유로 빠져나가는 모습이 고착됐다.
전체 이동에서 1인 비중이 크게 늘면서 청년층은 '개인 이동'을 중심으로 순유입되고, 중장년층은 '가족 단위 이동'을 중심으로 순유출을 보였다. 이런 구조적 변화는 수도권 집중을 완만하지만, 장기적으로 더욱 강화시킬 요인으로 지목된다.
◆ 수도권에 청년층 20년간 순유입…중장년은 순유출 지속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 이동'에 따르면, 수도권은 2011년 처음으로 순유출을 기록한 이후 2017년 다시 순유입으로 전환돼 현재까지 순유입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총전입에서 총전출을 뺀 순이동 규모는 지난해 기준 4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로 보면 청년층은 2004~2024년 내내 순유입을 기록했지만, 중장년층은 2007년부터 순유출을 이어갔다. 지난해 기준으로 청년층 순유입은 6만1000명, 중장년층 순유출은 1만8000명을 각각 기록했다.
![]() |
수도권 청년층과 중장년층 순이동률 [자료=통계청] 2025.09.17 rang@newspim.com |
청년층 순유입 규모는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020년 9만4000명을 기록한 이후 ▲2021년 7만8000명 ▲2022년 7만명 ▲2023년 6만3000명 ▲2024년 6만1000명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봤을 때 20년 전인 2004년에는 9만5000명, 10년 전인 2014년에는 4만명을 각각 기록했다.
중장년층은 15년간 순유출을 이어갔으나 최근 몇 년간 순유출 규모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11~2017년에는 평균 약 3만명대의 순유출을 보였지만,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는 1만명대 선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순유출 규모인 1만8000명은 10년 전인 2014년(-3만6000명)과 비교해 절반 수준이다.
수도권 순유입 사유로는 '직업'과 '교육'이 가장 많았다. '직업' 사유는 2016년부터, '교육' 사유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순유입을 보였다. 순유출 사유로는 '가족'과 '자연 환경'이 가장 많았는데, 두 사유 모두 2013년부터 꾸준히 순유출을 기록했다.
![]() |
수도권 1인 이동자의 전입 사유별 순이동 [자료=통계청] 2025.09.17 rang@newspim.com |
1인 이동자 기준으로 청년층은 '직업'과 '교육' 사유로 순유입을 보이고, '가족' 사유로 순유출을 나타냈다. '직업'과 '교육' 사유로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순유입을 보인 반면, '가족' 사유로는 20년 내내 순유출됐다. 중장년층은 '자연 환경'과 '주택', '직업' 사유로 순유출을 기록했다. '자연 환경'과 '직업' 사유로는 2013년부터 꾸준히 순유출을 보였다.
청년층의 직업·교육 유입과 1인 이동 확대가 이어질 경우, 수도권 집중은 완만하나 장기적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된다. 반면 중장년층의 유출은 비수도권 정주 여건·자연 환경 선호와 맞물려 지역 간 연령 구조 양극화를 키울 변수로 꼽힌다.
◆ 청년층 순유입 상위 도시 '전주·창원·대구'…전주 연속 포함
최근 20년간 권역별 순이동을 보면, 청년층은 영남권·호남권·중부권 등 3개 권역 모두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입을 이어갔다. 중장년층은 영남권에서 2010~2017년을 제외하고 계속 수도권으로 순유입을 보이다가,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은 순유출을 보였다. 호남권은 2008년부터 순유출을 기록했고, 중부권에서는 20년 내내 순유출됐다.
청년층은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총 11개 시도에서 수도권으로 지속적인 순유입을 보였다. 중장년층은 수도권에서 강원과 충북, 충남, 제주 등으로 순유출됐다.
![]() |
전출 시도별 청년층 수도권 순이동 [자료=통계청] 2025.09.17 rang@newspim.com |
지난해를 기준으로 볼 때 수도권으로 청년층 순유입자 수가 많은 비수도권 시군구는 '전북 전주시'와 '경남 창원시', '대구 달서구' 순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인 2014년에는 '경남 창원시'와 '전북 전주시', '대구 달서구' 순으로 유사한 순위를 기록했다. 20년 전인 2004년에는 '전북 전주시·정읍시'와 '광주 북구' 순으로 조사됐다. '전북 전주시'는 꾸준히 상위권에 속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수도권에서 중장년층 순유출자 수가 많은 비수도권 시군구는 '충남 아산시·천안시'와 '충북 청주시' 순으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14년에는 '제주 제주시·서귀포시'와 '충남 천안시', 20년 전인 2004년에는 '충남 천안시·아산시'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 가운데 '충남 천안시'가 연속으로 순유출자 수가 많은 지역으로 이름을 올렸다.
![]() |
전출 시도별 중장년층 수도권 순이동 [자료=통계청] 2025.09.17 rang@newspim.com |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