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퇴진 선언으로 자민당은 후임 총재 선거 준비에 들어갔다. 일본은 집권당 총재가 곧 총리를 맡는 구조여서, 이번 총재 선거는 사실상 차기 총리를 뽑는 '총리 선거'다.
◆ 10월 초순 투·개표 예상
자민당 총재 선거 규정은 "총재가 임기 중 사임하면 가능한 한 신속히 일정을 결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 안팎에서는 10월 초순 투·개표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총재 선거 준비 과정에는 후보 등록, 추천인 확보, 선거운동 기간 등이 포함된다. 후보 등록에는 자민당 소속 국회의원 20명 이상의 추천이 필요하며, 당내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 공고와 투표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게 된다.
이번 선거에서는 기존처럼 12일 이상 선거 기간을 갖는 '풀 스펙(Full Spec) 방식'과, 긴급 상황에 대응하는 의원총회(간이형) 방식 중 하나가 적용될 예정이다.
일정 단축과 정치적 긴급성을 감안하면, 의원총회 방식 채택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 |
일본 자민당사 [사진=뉴스핌DB] |
◆ '풀 스펙' 방식과 '의원총회' 방식
풀 스펙 방식은 현재 자민당 소속 국회의원 295명과 전국 당원·당우 투표를 합산해 승자를 가린다. 당원·당우 투표는 의원 표와 같은 295표로 환산된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상위 2명으로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
과거 총재 선거에서는 풀 스펙 방식을 통해 후보가 전국적 지지 기반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했다. 당원·당우 표심이 의원 표와 달리 흐를 경우, 정치적 균형을 맞추는 효과가 있었다.
의원총회 방식은 긴급 시 당원 투표를 생략하고, 국회의원 295표와 도도부현 47개 지부 대표 3표씩(총 141표)을 합산해 승자를 결정한다. 2020년 아베 신조 전 총리 퇴진 당시가 대표적 사례다.
당시 의원총회 방식으로 결정되면서, 국회의원 표 비중이 크게 확대됐다. 이는 후보 간 파벌 역학과 의원 개인 인맥이 승패를 좌우하는 계기가 됐다.
이번 선거에서도 일정 단축과 정치적 긴급성을 고려하면, 의원총회 방식이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당원 표 영향력은 제한되며, 국회의원 지지 확보가 승부의 핵심이 된다.
선거 방식은 자민당 최고 의결기구인 총무회에서 결정되며, 방식에 따라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 담당상 등 대중 인지도 높은 후보와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 등 당내 기반이 탄탄한 인사들 간의 유불리가 갈릴 수 있다.
![]() |
7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민당 총재 사임 발표 기자회견 후 단상을 내려가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총재 선거 후 총리 지명
자민당의 새 총재가 선출되면 국회는 곧바로 총리 지명 선거를 실시한다.
자민·공명 연립 여당은 현재 중의원과 참의원 모두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야당이 단일 후보를 내세우고 결집할 경우 총리 지명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2024년 중의원 선거 후, 이시바 총리는 입헌민주당의 지원을 받아 총리로 지명됐다. 소수 여당 하에서는 야당 협력이 필수적임을 보여주는 사례다.
차기 자민당 총재는 당내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뿐 아니라, 국회 다수 확보와 야당 연대 전략까지 동시에 고민해야 한다. 이번 총재 선거가 일본 정국의 향방을 좌우할 것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