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뉴스핌] 홍재경 기자 =인천시가 드론을 활용해 서해5도 3D 지도를 제작하려던 작업이 군(軍) 당국의 드론 비행 불허로 무산됐다.
북한과 인접한 서해5도는 드론이나 초경량 비행기기를 띄우려면 군 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 |
인천 백령도 전경 [사진=인천시 옹진군] |
29일 시에 따르면 서해 5도(백령도·대청도·소청도·대연평도·소연평도) 전역을 담은 3D 행정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지난달과 이달 중순 두 차례 합동참모본부에 드론 비행 승인을 요청했으나 허가받지 못했다.
합참은 해당 지역이 탐색, 구조 등 재해·재난 업무와 군 필수 임무 목적에만 비행이 가능하다며 승인을 내주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인천 내륙은 항공기를 활용해 제작한 실제와 비슷한 수준의 3D 행정지도가 구축돼 행정 업무 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서해 5도와 인근 구역은 위성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돼 정확도가 떨어진다.
앞서 시는 지난 3월 서해5도 일대에 고해상도 3D 지도를 만들기 위해 신청한 '국토교통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 공모에 참여해 선정됐다.
당시 시는 'k-드론 배송 서비스'와 '첨단 행정서비스' 2개 분야에서 뽑혀 국비 5억3000만원을 확보했으며 이 가운데 1억8500만원을 서해5도 지도 제작에 투입할 계획이었다.
시는 서해 5도 대신 현재 추진 중인 인천지역 드론 기반 지도 제작 사업에서 빠진 곳 가운데 적합한 곳을 추가로 선정해 지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안전기술원으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변경해 사업을 추진해도 괜찮다'는 답변을 구두로 받아 국비를 반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hjk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