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비상계엄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홍철호 당시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윤석열 전 대통령과 연달아 통화한 내역을 확보했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지난해 12월 3일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 직후 홍 전 수석과 통화한 내역을 확보해 관련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 |
김기현(왼쪽)·추경호 국민의힘 의원. [사진=뉴스핌DB] |
당시 국회로 이동 중이던 추 전 원내대표는 이후 11시 12분께 한 전 총리와 7분간 통화했고, 11시 22분께 윤 전 대통령과 연달아 통화했다. 특검은 이처럼 연이은 통화 과정에서 추 전 원대표가 윤 전 대통령이나 한 전 총리, 홍 전 수석 등 측근들로부터 당 차원의 집단행동을 요구받은 것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최근 조경태·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두 의원은 모두 비상계엄 당시 의원총회를 두고 '혼선이 있었다'는 취지로 말했다.
당시 국민의힘의 집결 장소는 국회 본회의장이나 중앙당사 등으로 여러 차례 변경됐고, 공지 주체도 여럿이었다. 특히 특검은 당시 우원식 국회의장이 본회의를 개의하려던 상황이었음에도 추 전 원내대표가 소집 장소를 당사로 변경 공지한 점도 의심스럽게 보고 있다.
당시 우 의장은 계엄군이 국회 본청으로 들어오는 상황 등을 고려해 개의 시간을 앞당기려 했다. 하지만 추 전 원내대표는 우 의장과 통화하면서 '국회의원을 모으는 시간이 필요하다. 국회 내로 의원들이 들어올 시간을 확보해 달라'며 개의 연기를 요청했는데, 이 요청은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에서 당사로 다시 변경한다고 공지한 이후였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개의를 우선으로 생각했다면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당시 상황 및 경위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특검은 당시 국회의원들의 텔레그램 대화 내역도 확보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의 텔레그램에는 의원총회 장소가 여러 차례 변경되며 의원들이 '집결 장소를 명확히 해달라'고 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있었다.
하지만 이같은 의원들의 대화 내용이 담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 메시지가 모두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특검은 관련 내용의 삭제 경위 등을 파악할 전망이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