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특화 모델 개발·경량 모델 상용화 동시 추진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으로 기술 주권 확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하며 자체 AI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고성능 모델과 경량화 모델을 병행 개발하고, 서비스 중심 전략을 통해 AI 대중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열린 2025년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정부에서 최근 언급하고 있는 소버린 AI 방향성과 카카오의 AI 전략은 모두 AI를 서비스로 확장하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로 수렴되고 있다"며 "카카오는 단순히 모델 개발에 그치지 않고, 이용자 친화적 AI 서비스 구현에 집중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올 하반기부터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경량화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AI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AI 서비스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 |
사진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지난 2월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정 대표는 "고성능 SLM, 멀티모달, MoE 등 특화 언어모델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은 AI 에이전트 서비스에 최적화된 형태로 발전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카카오는 외부 협력과 내부 기술 자립을 병행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기반으로, 사용자 질문의 난이도에 따라 최적의 모델을 선택해 제공하는 방식의 기술 구성을 지향하고 있다.
정 대표는 "카카오의 AI 모델이 고도화될수록 이를 다양한 외부 협력 서비스 및 내부 서비스에 연동해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와 기술 주권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AI를 통해 국민 일상을 혁신하고, 보다 빠른 AI 기반 사회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