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신뢰 최우선,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 전면 시행
AI DC 사업, 2030년 연 매출 1조 목표
'AI·정보보호' 중심 재도약 기반 마련에도 집중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올해 2분기 유심 해킹 사고와 이에 따른 고객 모집 중단 여파로 매출과 수익성이 전년 동기 대비 모두 감소하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2분기 인공지능(AI) 사업 부문이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며 실적 방어에 기여했고, 하반기부터는 보안 강화와 AI 투자 등을 바탕으로 고객 신뢰 회복과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4조 3,388억 원, 영업이익 3,383억 원, 당기순이익 832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37.1%, 당기순이익은 76.2% 감소한 수치로,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2분기 실적 컨센서스인 매출 4조 3,949억 원, 영업이익 3,881억 원, 당기순이익 2,037억 원을 모두 하회했다.
김양섭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유심 해킹 사고 이후 유심 무상 교체, 대리점 보상 등으로 약 2,500억 원 규모의 일회성 비용이 2분기에 반영됐다"며 "하반기에는 통신요금 50% 할인 등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이 본격 시행되면서 매출과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 |
또 "이에 올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기존 17조 8,000억 원에서 17조 원으로 하향 조정했다"며 "영업이익도 전년 수준을 하회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2분기 이동전화 부문에서는 5G 가입자가 전 분기 대비 약 22만 명 줄어든 1,702만 명으로 감소, 초고속인터넷과 IPTV 가입자도 동반 하락했다. 아울러 유심 해킹 사고 발생일부터 위약금 면제 종료일까지 약 105만 명이 번호이동을 통해 이탈한 가운데, 같은 기간 33만 명이 유입돼 순이탈은 약 72만 명에 달했다.
◆ AI 사업, 두 자릿수 성장 견인...'돈 버는 AI' 전략 가속
2분기 AI 사업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성장하며 2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구체적으로 AI DC 부문은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1,08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AIX 부문은 B2B 솔루션 판매 확대로 15.3% 성장한 46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의 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 역시 7월 말 기준 누적 가입자 1,000만 명을 돌파, 최근 출시된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베타 서비스는 한 달 만에 누적 사용자 80만 명을 기록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아마존웹서비스(AWS), SK그룹 멤버사들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AI 전용 데이터센터 '울산 AI DC'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울산 AI DC는 SK그룹 전반의 역량을 기반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으로, 2027년 가동이 목표다. SK텔레콤은 울산 AI DC에 이어 서울 구로 DC가 가동되는 시점에 총 300MW 이상의 데이터센터 용량을 확보, 데이터센터 가동률 상승에 따라 2030년 이후 연간 1조 원 이상의 매출 달성을 기대했다.
![]() |
사진은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
이현우 SK텔레콤 AI DC 추진본부장은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은 정부의 AI 고속도로 및 국가 혁신거점 전략에 선제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이라며,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연계한 파트너십 기반을 강화하고, 추가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고객 신뢰 회복 위한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 전면 시행
SK텔레콤은 유심 해킹 사고 이후 단기 실적보다 장기적인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을 마련해 고객 보호 및 정보보호 강화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고객 피해 방지를 위한 '고객 안심 패키지' ▲5년간 7,000억 원 규모의 정보보호 강화 투자 ▲전 국민 대상의 보상 혜택을 담은 '고객 감사 패키지' 등으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고객 안심 패키지'의 일환으로 SK텔레콤은 국내외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완료했으며, 유심 교체를 무상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FDS)도 최고 단계로 격상해 운영 중이다. 유심 복제 등으로 인한 피해에 대비해 '유심 해킹 보상 보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 짐페리움(Zimperium)을 전 고객에게 1년간 무상 제공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기반의 글로벌 최고 수준 정보보호 체계 구축을 목표로, 향후 5년 간 총 7,000억 원 규모를 투자하는 '정보보호혁신안'도 발표했다.
![]() |
사진은 지난 7월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발표 이후 SK텔레콤 본사 T타워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해킹 사고와 관련한 입장과 향후 계획을 설명하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
고객의 신뢰에 보답하고자 마련된 '고객 감사 패키지'는 총 5,000억 원 규모의 혜택을 제공한다. 8월 한 달간 통신 요금 50% 감면, 연말까지 매월 데이터 50GB 추가 제공, T멤버십 제휴사 릴레이 할인 확대 등이 포함된다.
SK텔레콤은 이탈 고객에 대한 재유치 전략으로, 해지 고객이 6개월 내 재가입할 경우 기존 멤버십 등급 및 가입 연수를 복구해주고, 3년 이내 복귀 시 가입 연수와 멤버십 등급을 원상 복구해주는 제도도 운영 중이다. 올해 안에 돌아올 경우 멤버십 할인 혜택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 하반기 실적 추가 악화 전망...연간 매출 가이던스 하향 조정
SK텔레콤은 올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기존 17조 8,000억 원에서 17조 원으로 하향 조정, 영업이익도 전년 수준을 밑돌 것으로 예상했다. 더욱이 3분기부터는 고객 감사 패키지의 통신요금 50% 할인 등 책임과 약속 프로그램이 본격 적용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추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울산 AI DC 투자나 정보보호 투자 확대로 일부 계열사의 자본적 지출(CAPEX)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올 하반기 울산 AI DC 착공에 따라 SK브로드밴드의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SK텔레콤은 5G 전국망 구축이 완료된 구조적 변화 덕분에 전체 연결 기준 설비투자는 중장기적으로 안정화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 |
SK텔레콤 컨소시엄 풀스택 AI 개념도. [사진=SK텔레콤] |
한편, SK텔레콤은 정부가 추진 중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소버린 AI)'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며 국책사업을 통한 성과도 기대했다. 지난 5월 정부의 AI 인프라 GPU 임차 지원 사업에 선정돼 최신 엔비디아 GPU 기반 데이터센터를 공급하게 됐으며, 7월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컨소시엄을 주도해 정부 과제의 최종 5개 팀에 포함됐다.
한국형 LLM '에이닷(A.X) 3.1'를 오픈소스로 공개해 국내외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AI 통화 요약 서비스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다이얼)'에는 국산 AI 반도체 리벨리온의 '아톰'을 테스트 적용하며 해외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AI 기술의 국산화·자립도를 높이고 있다.
이현우 본부장은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은 정부의 AI 고속도로 및 국가 혁신거점 전략에 선제적으로 기여하는 사업"이라며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과 연계한 파트너십 기반을 강화하고, 추가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SK텔레콤은 작년부터 SK AI 서비스를 통해 한국형 소버린 AI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며 "국내 AI 생태계 자립 실현과 함께 핵심 기업으로서 다양한 사업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덧붙였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