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5개 정예팀 중 유일한 스타트업 참여
자체 아키텍처 기반 글로벌 범용 모델 개발
산학연 협력 통해 산업별 AI 확산 본격화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업스테이지는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총 15개 지원팀 중 서류 및 발표 평가를 거쳐 선발된 5개 정예팀 가운데 스타트업으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업스테이지는 이번 사업에서 새로운 독자 모델을 개발하는 '유형 1' 과제에 선정됐다. 자체 아키텍처와 학습 알고리즘을 새롭게 설계·구현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프런티어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모델은 추후 1,000억~3,000억 파라미터 규모로 확장되며, 한·영·일·동남아 언어 지원, 멀티모달 처리, 산업별 특화 기능 등으로 진화시킬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업스테이지는 스타트업의 민첩성과 혁신성을 살려 산·학·연 협력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모델 개발과 GPU 인프라 운영은 래블업(분할 가상화), 노타 AI(모델 학습·경량화 최적화), 플리토(데이터 전처리·평가)가 맡는다.
![]() |
업스테이지 로고. [사진=업스테이지] |
학계에서는 KAIST 오혜연·이재길·임경태 교수, 서강대 장두성·최준석·이화란 교수가 참여해 연구와 인재 양성에 기여한다. 해외 연구자 유치, 정규 강좌 개설, 학술 논문 및 특허 창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업스테이지는 해당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산업 전반에 AI 도입을 확산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뷰노(의료), 마키나락스(제조·국방), 로앤컴퍼니(법률), 오케스트로(공공), 데이원컴퍼니(교육), 올거나이즈(검색), 금융결제원(금융 인프라) 등 각 분야 대표 기업과 협력할 예정이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글로벌 프런티어 독자 모델 개발이라는 의미 있는 여정에 유일한 스타트업으로 함께하게 돼 영광"이라며 "업스테이지는 검증된 기술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LLM 분야를 선도하고,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