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개발·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상용화 시대 대비
허브도시 조성…수에즈운하 대비 32% 이상 항로 단축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전날 시청 소회의실에서 '부산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 2차 회의를 열고 북극항로 허브도시 부산 조성 연구용역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고 23일 밝혔다.
![]() |
22일 오후 4시 부산시청 12층 소회의실에서 열린 '부산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사진=부산시] 2025.07.23 |
이번 회의는 북극항로 상용화 시대를 대비해 부산 중심의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과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목표로 마련됐다. TF는 지난해부터 구성·운영 중이며, 선사·학계·공공기관 등 21명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회의에서는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성문 교수가 연구용역 과업 개요와 수행 계획을 발표했고, TF 위원들은 심도 있는 자문과 토론을 이어갔다. 연구용역은 부산항의 대내외 환경 분석, 물동량 수요 예측, 정책 방향 설정과 전략 과제 발굴,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등을 담는다.
부산시는 지난해 2월 TF 첫 회의에서 연구용역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2025년 제1회 추경에 2억 원을 반영해 용역을 추진 중이다. 북극항로 관련 인프라 조성, 극지 전문 인력 양성, 북극항로 위원회와 진흥원 설립 등 정부 차원의 지원도 지속해서 건의하고 있다.
시는 북극항로 허브도시 조성을 통해 수에즈 운하 대비 32% 이상 단축된 항로를 활용, 환적 화물 처리와 글로벌 물류 허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와 국회 차원의 특별법 제정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부산시는 체계적 준비로 북극항로 시대의 선제적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북극항로는 기후 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떠오르는 전략 항로다. 부산이 선제 대응해 신해양산업과 글로벌 물류, 기후 데이터 기술 등 미래 신성장 분야 중심도시로 도약할 기회"라고 평가하며 "TF와 연구용역을 연계해 구체적이고 실행력 있는 정책 과제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