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과학기술

속보

더보기

[VivaTech 2025] ④ Toonimotion "Game Changer in Webtoon Animation"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24

최종수정 : 2025년06월04일 18:24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Webtoon lovers have probably imagined this at least once: How wonderful would it be if these touching scenes came to life in video? Toonimotion makes this imagination a reality. Established in 2019, this Korean startup is a leader in webtoon-based short-form animation production, pioneering a new market called content upcycling. The modifier "game changer in webtoon animation" is by no means an exaggeration.

Toonimotion's greatest strength lies in creating animations using the webtoon manuscript images themselves. To achieve this, they have introduced their self-developed digital cutout method, AI-based upscaling technology, and RT (Real-Time) production pipeline, realizing approximately 80% reduction in production processes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They can produce short-form series of 4 minutes per episode, averaging 50-70 episodes, within 3-5 months, which is a completely different speed from traditional TV animation production.

Animation produced by Toonimotion [Photo=Toonimotion]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Thanks to this technology, video content is produced that preserves the original's sensibility while maintaining TV-level quality. Particularly, their strategy targeting the MZ generation and short-form consumption demographics has established itself as content optimized for the YouTube and TikTok era.

Toonimotion's content has expanded to OTT and VOD platforms worldwide, including domestic platforms like NETFLIX, TVING, WAVVE, WATCHA, and three IPTV companies, as well as international platforms in China (iQIYI, Tencent Video, YOUKU), Singapore (meWATCH), and France (KFTV). Particularly, with English and Chinese subtitles included as standard, they are maximizing the global scalability of their content.

By 2024, they launched 7 series animations, and as of 2025, they are currently working on 5 or more new projects.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I Was Born as the Demon Lord's Daughter,' 'From Lowest Soldier to Monarch,' and 'Robber x Lover,' which have already received enthusiastic responses from both fan bases and the market.

Toonimotion's business model goes beyond simple animation production. Through 'content upcycling' that transforms unpublished webtoon IPs into video content, they are creating new added value and expanding into secondary IP businesses through collaborations with games and advertising. Some games have established a structure that returns 10% of revenue to content creators, presenting a healthy virtuous cycle model for the content ecosystem.

Toonimotion has various OTT revenue models including AVOD (advertising-based), TVOD (paid purchase), and SVOD (subscription-based), and also operates its own platform (Toonimotion.net) and YouTube channels. With multiple revenue pipelines including content outsourcing production, royalty income, and global content distribution, their financial structure is also stable.

The recently introduced AI upscaling technology is greatly contributing to animation quality improvement. It has effectively improved video quality issues that varied depending on the resolution of original webtoon images, resulting in overall enhanced quality of Toonimotion's animations.

Toonimotion is set to begin full-scale entry into the European market starting with Paris VivaTech 2025. Having already established its position as a global studio through contracts with Netflix, iQIYI, WATCHA, and others, Toonimotion is now ready to establish itself as a 'game changer in webtoon animation' in the European market as well.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④ Toonimotion « Révolutionnaire de l'animation de webtoons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Les amateurs de webtoons ont probablement imaginé ceci au moins une fois : comme ce serait merveilleux si ces scènes touchantes prenaient vie en vidéo ? Toonimotion transforme cette imagination en réalité. Créée en 2019, cette startup coréenne est leader dans la production d'animations courtes basées sur des webtoons, ouvrant la voie à un nouveau marché appelé surcyclage de contenu. Le qualificatif « révolutionnaire de l'animation de webtoons » n'est en aucun cas une exagération.

La plus grande force de Toonimotion réside dans la création d'animations en utilisant les images des manuscrits de webtoons elles-mêmes. Pour y parvenir, ils ont introduit leur méthode de découpage numérique auto-développée, la technologie d'amélioration basée sur l'IA, et un pipeline de production RT (temps réel), réalisant environ 80% de réduction des processus de production par rapport aux méthodes existantes. Ils peuvent produire des séries courtes de 4 minutes par épisode, d'une moyenne de 50-70 épisodes, en 3-5 mois, ce qui est une vitesse complètement différente de la production d'animation TV traditionnelle.

Grâce à cette technologie, du contenu vidéo est produit qui préserve la sensibilité de l'original tout en maintenant une qualité de niveau télévision. Particulièrement, leur stratégie ciblant la génération MZ et les consommateurs de formats courts s'est établie comme un contenu optimisé pour l'ère YouTube et TikTok.

Le contenu de Toonimotion s'est étendu aux plateformes OTT et VOD du monde entier, incluant les plateformes nationales comme NETFLIX, TVING, WAVVE, WATCHA, et trois compagnies IPTV, ainsi que les plateformes internationales en Chine (iQIYI, Tencent Video, YOUKU), Singapour (meWATCH), et France (KFTV). Particulièrement, avec les sous-titres anglais et chinois inclus en standard, ils maximisent l'évolutivité globale de leur contenu.

D'ici 2024, ils ont lancé 7 séries d'animations, et en 2025, ils travaillent actuellement sur 5 nouveaux projets ou plus. Les œuvres représentatives incluent 'Je suis née comme la fille du Seigneur Démon,' 'Du soldat le plus bas au monarque,' et 'Robber x Lover,' qui ont déjà reçu des réponses enthousiastes tant des bases de fans que du marché.

Le modèle d'affaires de Toonimotion va au-delà de la simple production d'animation. Grâce au 'surcyclage de contenu' qui transforme les IP de webtoons non publiées en contenu vidéo, ils créent une nouvelle valeur ajoutée et s'étendent aux affaires IP secondaires grâce à des collaborations avec les jeux et la publicité. Certains jeux ont établi une structure qui retourne 10% des revenus aux créateurs de contenu, présentant un modèle de cycle vertueux sain pour l'écosystème du contenu.

Toonimotion a divers modèles de revenus OTT incluant AVOD (basé sur la publicité), TVOD (achat payant), et SVOD (basé sur l'abonnement), et exploite également sa propre plateforme (Toonimotion.net) et des chaînes YouTube. Avec de multiples pipelines de revenus incluant la production externalisée de contenu, les revenus de redevances, et la distribution de contenu global, leur structure financière est également stable.

La technologie d'amélioration IA récemment introduite contribue grandement à l'amélioration de la qualité d'animation. Elle a efficacement amélioré les problèmes de qualité vidéo qui variaient selon la résolution des images de webtoons originales, résultant en une qualité globale améliorée des animations de Toonimotion.

Toonimotion est prêt à commencer une entrée à grande échelle sur le marché européen en commençant par Paris VivaTech 2025. Ayant déjà établi sa position comme studio global grâce à des contrats avec Netflix, iQIYI, WATCHA, et d'autres, Toonimotion est maintenant prêt à s'établir comme un 'révolutionnaire de l'animation de webtoons' sur le marché européen également.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사진
다음달 10일 2차 소비쿠폰 기준 나온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행정안전부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기준을 이르면 내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상위 10% 구분 기준은 부동산 및 금융소득 등을 살펴 이달 중 기준 수립 준비에 나선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에서 열린 민생회복 소비쿠폰 간담회에서 "9월 10일 정도에 2차 (소비쿠폰) 기준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실장에 따르면 2차 지급 기준 준비는 이달 중 시작된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을 만나 기준을 짜야 한다"며 "2021년 사례를 보면 1인가구는 특례를 가산했고, 맞벌이가구는 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4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자영업자 매출 증감률은 전주 대비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04 ryuchan0925@newspim.com 한 실장은 "고액 자산가인데 건보료만 적게 내는 경우도 있다"며 "(행안부의) 부동산 데이터나 국세청 금융소득 데이터를 활용해 직장 가입자 중 고액 자산가를 선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소비쿠폰 지급 현황에 따르면 전체 신청자는 4818만명으로, 전체 지급대상자의 95.2%가 신청을 마쳤다. 지급액은 8조7232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용 현황은 신용·체크카드 지급액 5조8608억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조404억원(51.9%)이 소비됐다. 이날 처음 공개된 지역별 신용·체크카드 소비율을 보면 서울보다 지역이 높은 편이었다. 제주가 57.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 54.7%, 울산 54.6%, 광주 54.5%, 충북 54.1%, 대전 54.0%, 부산 53.7% 등이었다. 한 실장은 "비수도권에 3만원·5만원 더 준 부분도 있지만, 지역 영세소상공인 매출로 이어져 의미 있는 숫자"라며 "10%포인트(p) 차이는 아니지만 2~3%p라도 높은 것은 그만큼 비수도권이 어려웠다는 방증이자 (소비쿠폰이) 사용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예산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실장은 "사업 전체 13조9000억원 가운데 1조8000억원만 지방(예산)이고 나머지 12조1000억원가량이 국비다"라며 "(국비에서) 8조1000억원을 먼저 내렸고, 기획재정부 협조를 구해 이달 중순 정도에 4조1000억원을 조속하게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료=행정안전부] 2025.08.08 sheep@newspim.com 한 실장은 "(소비쿠폰 2차 지급에 앞서) 지방채 발행이 필요 충분 조건은 아니고 충분조건 정도 될 것"이라며 "(지방재정법 통과는) 9월 본회의까지 하도록 목표를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는 민생쿠폰 관련 연구용역 예산 2억원도 담겼다. 소비쿠폰 등 현금성 지원에 대한 효과를 철저하게 분석한다는 취지다. 한 실장은 "민생쿠폰 추경에 연구용역비 2억원이 담겼다"며 "과거 2020~2021년 효과가 있냐 없냐 등 많은 비판이 있었다. 연구 용역을 제대로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세정책연구원이나 KDI 등과 연구한다는 것이 행안부 현재 계획이다. 행안부는 하나로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이날 밝혔다. 그간 도서산간지역 소비쿠폰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한 실장은 "면 단위에서 동네에 마트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어 하나로마트 121곳에서 현재 사용 가능하다"면서도 "현장을 가 보니 마트가 있어도 너무 영세해 고기나 채소 등 신선식품을 사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현재 시장·군수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하고 있고, 빠른 시일 내로 하나로마트 사용처를 추가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실장은 또 "추가 소비 진작 대책을 관계부처와 많이 만들고 있다"며 "행안부는 수도권 기업, 공기업, 관공서 등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을 맺는 소비진작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8-08 16:1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