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모빌리티·인공지능·환경·스마트 농축수산 분야
정책금융기관 최고 수준 우대, 컨설팅·IR·수출 지원 등 실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위원회 등 13개 부처는 14일 2025년도 제1차 '혁신 프리미어 1000'으로 총 509개의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했다. 선정 기업은 정책금융기관으로부터 기업별 맞춤형 금융·비금융 지원을 집중 제공받는다.
![]() |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위원회 등 13개 부처는 14일 2025년도 제1차 '혁신 프리미어 1000'으로 총 509개의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했다. [사진=금융위원회]2025.05.14 dedanhi@newspim.com |
'혁신 프리미어 1000'은 금융·산업간 협업을 통해 산업별 우수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종래 운영해온 유사 지원제도(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우수기업 우대프로세스)를 통합해 우수기업에 대해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을 제공하고자 '제9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에서 도입됐다.
올 2~3월 각 부처가 산업별 특성 및 부처의 정책 방향성을 감안해 지원 기업들의 혁신성과 성장성을 평가한 결과 13개 부처는 총 542개의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했다. 이 중 중복 선정된 30개의 기업을 감안하면 최종적으로 509개의 기업이 혁신 프리미어로 선정돼 2026년 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혁신성장 산업 분야별로는 제조·모빌리티(전기차, 첨단 방산, 로봇 등), 인공지능(AI분석, 빅데이터 등), 환경·스마트 농축수산(친환경 연료, 대체식품 등) 등 다양한 부문에 걸쳐 분포돼 있다. 한편,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488개, 중견기업은 21개가 선정됐다.
선발된 509개 기업 중 96% 이상(492개)은 '5대 중점 자금공급분야'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중점 자금공급분야'는 각 부처의 산업정책을 고려해 '정책금융지원협의회'에서 중점적인 정책금융 공급이 필요한 분야를 선정한 것이다.
'혁신 프리미어'로 선정된 기업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금융·비금융 지원신청서를 '정책금융 종합지원반'에 접수할 수 있으며, 종합지원반은 접수된 지원서 및 기존 거래내역 등을 검토해 담당 정책금융기관(및 영업점)을 배정하고 맞춤형 밀착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책금융기관들은 '혁신 프리미어' 전용상품 신설 등을 통해 정책금융기관의 상품 중 최고 수준의 우대(금리, 대출한도, 보증비율 등)를 제공한다. 아울러 기업의 성장 단계, 산업 특성, 투자 수요 등을 감안해 컨설팅·IR·수출지원 등 폭넓은 비금융지원도 실시할 예정이다.
또, 중기부·과기부·환경부·해수부·국토부·문체부·복지부·관세청·금융위는 소관 '혁신 프리미어' 기업을 대상으로 부처별 지원사업 특전도 제공할 예정이다.
제1차 '혁신 프리미어'는 선정 익년도 말인 2026년 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유효기간 이후에도 혜택을 유지하기 희망하는 기업은 유효기간 만료 전까지 각 부처를 통해 '혁신 프리미어'로 재선정돼야 한다. 향후 정부는 '혁신 프리미어'로 매년 상반기 약 500개 내외의 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