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151만주' 순매수, 사모펀드 '67만주' 순매도
상장 첫날 5만1400원→7일 2만6400원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더본코리아가 코스피 상장 이후 반년 만에 주가가 반토막 수준으로 하락했다. 상장 직후 개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매수세와 달리, 기관 투자자들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일제히 매도세를 보이며 수급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상장 이후 지난 7일까지 개인 투자자들은 총 4604만주를 매수했으며, 같은 기간 4452만주를 매도하면서 약 151만주를 순매수했다.
거래대금 기준으로 개인 투자자는 약 645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 투자자들이 꾸준히 매수에 나선 반면, 기관 투자자들과 외국인들은 매도 우위를 보였다. 특히 사모펀드는 70만7913주를 매도하고 3만2720주만 매수해 약 67만 주를 순매도하며 대규모 매도세를 보였고, 거래대금 기준으로는 약 269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 투자자들 중 기타외국인은 약 1만761주, 4억7000만원 규모를 순매수했지만, 전반적인 매도세가 우세했다. 연기금은 상장 초에는 매수에 소극적이었으나, 이후 점차 유입세를 보이며 총 8만5000주(약 39억원)를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지난해 11월 6일 상장 첫날, 더본코리아 주가는 공모가 3만4000원을 웃도는 5만14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6만45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른바 '백종원 테마주'로 주목받으며 시가총액은 7000억원을 기록하며 백종원 대표는 보유 지분 가치만 약 4519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상장 후 차익 실현에 나선 기관과 외국인들이 물량을 내놓으면서, 주가는 급격히 하락했다. 상장 2주 만인 지난해 11월 말에는 4만원 이하로 떨어졌고, 한 달여 뒤인 12월 초에는 장중 3만1000원 선까지 밀려 공모가 수준까지 내려왔다.
새해 들어서는 더본코리아의 주력 신상품인 '빽햄'의 품질 논란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빽햄'이 정가 대비 과도하게 비싸고 품질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소비자 지적이 확산되면서 지난 2월 3일 주가는 장중 처음으로 2만원대까지 떨어졌다. 이날 2만9800원에 마감한 주가는 하락세가 지속됐다.
이후에도 악재는 끊이지 않았던 더본코리아는 2월 중순, 가맹 사업 관련 행사에서 산업용 조리기구 사용 의혹과 자회사 제품의 원산지 허위 표기 논란이 제기돼, 백종원 대표와 회사에 대한 경찰 조사가 진행됐다.
그 후 갑질 논란까지 더해지며 기업 이미지는 더욱 악화됐고, 지난 3월 17일에는 2만7900원까지 떨어지며 상장 후 최저가를 경신했다. 이달 열린 주주총회에서 백 대표는 "창립 이래 최고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최근 원산지 표기 문제 등으로 주주님들께 큰 걱정과 실망을 안겼다"며 사과했다.
주주총회 당일 주가는 4% 이상 반등해 3만50원에 마감했지만, 이후에는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11일, 주가는 장중 2만6100원까지 내려가며 다시 최저가를 기록했다.
결국 백 대표는 지난 6일 방송 활동 전면 중단을 선언하며 "이제는 더본코리아의 성장과 경영에 전념하겠다"며 회사 경영에 집중할 뜻을 밝혔다. 백 대표의 경영 집중 선언에도 불구하고, 전날 주가는 전날 대비 550원(2.04%) 하락한 2만6400원에 마감했다.
유성만 리딩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연이은 부정적 이슈로 주가가 상장시점 대비 많이 조정을 받았다"며 "다만, 회사의 견고한 비즈니스 모델과 실적을 고려하면 주가의 하방 직성이 강하게 작용하는 구간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