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자치도는 실질적인 지역 활력 증진을 위한 생활인구 확대 전략에 나선 가운데 7일 전담 TF를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와 외국인 등록 인구뿐 아니라, 등록지 외 시군구에 하루 3시간 이상, 월 1회 이상 머무는 체류 인구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생활 공유 방식의 인구를 포괄한다.
![]() |
전북 생활인구 TF회의[사진=전북자치도]2025.05.07 gojongwin@newspim.com |
최근 여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감소하는 인구 문제의 대안으로 생활인구에 주목하고 있다. 실거주 인구는 줄고 있지만, 생활인구는 지역 경제와 공동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북자치도는 이날 '전북특별자치도 생활인구 TF' 킥오프 회의를 통해 전담 조직을 가동했다. 회의에는 기획조정실장을 주재로 인구청년정책과장 등 17개 부서장과 연구센터 관계자들이 참석해 협력체계를 가동했다.
TF는 생활인구를 문화·관광·체육, 외국인·중장년, 농산어촌, 통근·일자리 등 4개 분야로 나눠 운영된다. 이를 통해 전북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고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 도 인구청년정책과장은 생활인구 현황을 설명하고 TF 운영 계획을 공유했다. 정책기획관실 통계분석팀은 시군 생활인구 통계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전북연구원은 생활인구 유입 전략 20건을 제안했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TF를 통해 실효성 있는 사업을 발굴하고 2026년도 예산에 반영해 정책적 실행력을 높일 계획이다. 나아가 각 부서와 연구원의 협업을 강화해 데이터 기반 정책을 정교화할 방침이다.
천영평 전북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생활인구를 통해 전북의 실질적 활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며 "부서 간 긴밀한 협조로 종합대책을 마련해 적극적인 생활인구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