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홈, 보이스ID 등으로 맞춤형 제어 실현
냉장고부터 청소기까지 스크린 탑재 확대
이상 감지하고 반응하는 '돌보는 가전' 구현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가전에 인공지능(AI)을 본격 적용하며 '사용자를 이해하고 돌보는 기술'을 제시했다. 말하지 않아도 사용자 목소리를 구분해 일정을 알려주고, 집 안 이상 징후를 감지해 알림을 보내는 등, AI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가전 경험이 시작됐다. 단순한 하드웨어 진화를 넘어, '사용자 중심' 전략을 내세운 지능형 가전 생태계 구축에 나선 것이다.
삼성전자는 28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를 개최하고, 2025년형 AI 기반 가전 제품과 새로운 기술 비전을 공개했다.
◆"이해하고, 돌보고, 절약한다"…삼성의 AI 3대 키워드
삼성전자가 이번 행사에서 제시한 AI 전략의 핵심은 ▲Easy to Use(쉽게 사용하고) ▲Care(사용자를 돌보며) ▲Saving(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이다. 삼성전자가 추구하는 AI는 단순히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넘어, 사용자 환경을 학습하고 스스로 판단해 동작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 |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문종승 삼성전자 DA(디지털가전)사업부 부사장이 28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에서 AI 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2025.03.28 kji01@newspim.com |
대표 사례가 'AI 홈' 플랫폼이다. 냉장고·세탁기·오븐 등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에 연결된 가전제품을 한 눈에 확인하고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스크린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매터 스레드(Matter Thread) 등 다양한 통신 규격을 지원해 별도 허브 없이도 다양한 IoT 기기와 연동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스크린을 탑재한 가전의 영역도 확대 중이다. 2016년 패밀리허브 냉장고를 시작으로 세탁건조기와 레인지에 이어 올해는 일반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오븐까지 적용 범위를 늘릴 계획이다.
문종승 삼성전자 DA(디지털가전)사업부 부사장은 "비스포크 제품에 스크린, 마이크, 스피커를 탑재함으로써 스마트폰처럼 터치와 음성으로 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모든 가전의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나를 알아보는 냉장고…빅스비 '보이스ID'로 진화
음성 비서 '빅스비'도 한층 진화했다. 가장 큰 변화는 '보이스ID' 기능이다. 사용자의 목소리를 구분해 개별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중 누군가 냉장고 앞에서 "내 일정 알려줘"라고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캘린더와 갤러리 사진이 자동으로 불러와진다.
"내 폰 찾아줘"라는 음성 명령으로 스마트폰 위치를 파악하거나, 스마트폰의 접근성 설정을 가전에 그대로 반영하는 기능도 추가됐다.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된 가전'이라는 개념이 실제 제품에 구현되기 시작한 셈이다.
문 부사장은 "이제는 명확한 명령어가 아니라 앞뒤 문맥과 뉘앙스를 파악해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말하지 않아도 알아서 반응하는 AI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보이스ID를 통해 다수의 목소리를 구분하고 사용자 설정을 자동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별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 |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가 소개하는 진화된 빅스비와 스마트싱스의 기능들. 2025.03.28 kji01@newspim.com |
◆ 집안을 스스로 살피는 가전…모니터링 기능도 탑재
삼성은 가전제품이 집 안 상황을 감지하고 대응하는 기능도 강화했다. 일정 시간 내에 냉장고 문이 열리지 않거나 정수기 사용 기록이 없을 경우, 사용자의 일상을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를 감지해 알림을 보내는 방식이다.
또 외출 중 집 안에서 기기 작동이 감지되면 로봇청소기를 작동시켜 집안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홈 모니터링' 기능도 선보였다. 단순히 스마트한 기능을 넘어 '돌보는 가전'이라는 새로운 개념에 초점을 맞춘 셈이다.
◆ 연결성과 자동화…'AI 홈' 생태계로 확장 시동
삼성전자의 AI 전략은 단순히 개별 제품의 기능 확장을 넘어 '연결성과 자동화'를 기반으로 한 홈 생태계 구축에 방점이 찍혀 있다. 각 기기가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사용자 일상에 맞춰 알아서 동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기기 간 유기적인 연결, 감성 기반 AI 반응, 지능형 보안 등을 통해 프리미엄 가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겠다는 방침이다.
문 부사장은 "비스포크 AI 제품은 단일 제품 그 자체로도 고객 경험을 혁신하지만, 기기 간 상호 유기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진정한 AI의 진화가 완성된다"며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 모든 제품군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해, 고객이 집 안에서 겪는 사소한 불편 하나까지도 해결하는 방향으로 지속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