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뉴스핌] 이성훈 기자 = 경기 평택시가 평택호 유역의 수질 안정성을 강화하고 대규모 K-반도체 방류수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가 수질자동측정소 3개소 설치를 추진중이다.
13일 시에 따르면 평택시는 환경부 주관하에 무인 자동측정소를 설치해 중금속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최대 28개 항목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신속한 수질 오염사고를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
평택호 유역일대 설치된 국가 수질자동측정소 예상도[사진=평택시] |
평택호는 매년 약 5억 톤의 농공업용수를 공급하는 핵심 자원이다. 하지만 급속한 개발로 인해 오염물질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용인지역에서 2040년 이후 160만 톤(1일일 이상)의 반도체 방류수가 유입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질오염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시는 이를 대응하기 위해 국가 수질자동측정소 설치를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상생협력 관계기관 협약에 적극 제안‧채택돼 추진하게 됐다.
한국환경공단은 2026년 말까지 최종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정 시장은 "이번 측정소 설치로 주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수질 정보를 제공하고, 대규모 오염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택호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g04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