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종합] 완성차 5사, 국내외 극심한 불확실성에도 2월 실적 '선방'

기사입력 : 2025년03월04일 17:16

최종수정 : 2025년03월04일 17:16

현대차, 32만2339대 판매...전년비 2.1%↑
기아, 25만3850대 판매...전년비 4.5%↑
GM 한국사업장, 3만9655대 판매…전년비 29.5%↑
KG모빌리티, 8456대 판매...전년비 10.5%↓
르노코리아, 6099대 판매...전년비 11.3%↓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국내 완성차 5개사(현대자동차, 기아, GM 한국사업장, KG모빌리티, 르노코리아)가 국내외 극심한 불확실성 경제 환경에도 지난 2월 판매에서 선방했다.

국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이슈에 맞서 적극적으로 할인 및 마케팅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에는 설명절 연휴가 1월이 아닌 2월에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로 인한 상대적 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큰 집'인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해 2월 대비 총 판매량이 2.1~4.5% 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중견 3사 중 GM 한국사업장은 주력인 수출에서 전년비 33% 넘는 증가율의 판매고를 올리며 웃었다. 반면 KG모빌리티는 수출은 회복세를 보였지만 내수가 전년비 28% 넘게 줄었다.

르노코리아는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주력 SUV 그랑 콜레오스의 선방에도 부산공장 생산설비 보강작업에 따른 생산 물량 축소 영향을 받아 전체 판매량이 감소했다.

현대차·기아 양재 사옥. [사진=현대차]

◆ 현대차, 총 32만2339대 판매...전년비 2.1%↑

현대차는 2월 국내 5만7216대, 해외 26만5123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2.1% 증가한 총 32만2339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2월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20.1% 증가, 해외 판매는 1.1% 감소했다.

국내 시장에서 세단은 그랜저 5481대, 쏘나타 4585대, 아반떼 6296대 등 총 1만6708대를 팔았다. RV는 싼타페 5076대, 투싼 4735대, 코나 2234대, 캐스퍼 1293대 등 총 1만9769대 판매됐다. 포터는 5169대, 스타리아는 3005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총 2141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4026대, GV80 2642대, GV70 2749대 등 총 1만223대가 팔렸다.

해외 시장에서는 지난해 2월보다 1.1% 감소한 26만5123대를 판매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해 판매 최대화를 이루고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등으로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뛰어난 상품성을 지닌 신차를 지속 출시해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더 뉴 스포티지 X-Line 외장. [사진=기아]

◆ 기아, 총 25만3850대 판매...전년비 4.5%↑

기아는 2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6003대, 해외 20만7462대, 특수 385대 등 지난해 2월 대비 4.5% 증가한 25만3850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4.5% 증가, 해외는 4.4% 증가한 수치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6287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쏘렌토가 2만 4173대, 셀토스가 2만4040대로 뒤를 이었다.

2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4만6003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9067대가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4287대, K5 2503대, K8 2457대 등 총 1만176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7734대, 스포티지 6568대, 셀토스 4764대 등 총 3만2432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3281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3395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4% 증가한 20만7462대를 기록했다. 차종별로 스포티지가 3만9719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1만9276대, K3(K4 포함)가 1만6549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44대, 해외에서 341대 등 총 385대를 판매했다.

기아 관계자는 "전년 하반기부터 잇따라 출시한 K4, 시로스 등 신차가 미국과 인도 등 해외 시장의 판매를 이끌며 글로벌 판매 호조를 보였다"며 "앞으로도 EV4, 타스만 등 경쟁력 있는 신차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트랙스 크로스오버 [사진=쉐보레]

◆ GM 한국사업장, 총 3만9655대 판매…전년비 29.5%↑

GM 한국사업장은 2월 내수 1482대, 수출 3만8173대 등 총 3만9655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2월 대비 29.5% 증가한 실적이다.

해외 판매는 3만8173대로 전년 동월 대비 33.3% 증가했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는 전년 동월 대비 60.4% 증가한 총 2만6114대가 해외 시장에 판매되며 실적을 견인했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파생모델 포함)는 총 1만2059대가 판매됐다.

내수 시장에서는 전년 동월 대비 25.4% 감소한 1482대를 판매했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1120대를 기록하며 실적을 리드했다. 쉐보레 타호와 GMC 시에라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42.9%, 20.8% 증가했다.

GM 한국사업장 영업·서비스·마케팅 부문 구스타보 콜로시(Gustavo Colossi) 부사장은 "쉐보레 브랜드의 핵심 전략 차종인 트랙스 크로스오버와 트레일블레이저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며, 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2월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무쏘 EV [사진=KGM]

◆ KG모빌리티, 총 8456대 판매...전년비 10.5%↓

KG모빌리티(KGM)는 2월 내수 2676대, 수출 5780대 등 총 8456대를 판매했다. 총 판매량은 지난해 2월 대비 10.5% 감소했다. 다만 내수와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며 전월 대비로는 4.8% 증가했다.

수출은 5780대(CKD 150대 포함)로 카자흐스탄과 튀르키예 등으로 토레스와 토레스 EVX 등의 판매가 늘며 전년 동월 대비(1.3%) 및 전월 대비 소폭 증가한 가운데 상승기조를 이었다.

KGM은 수출 증가세를 잇기 위해 지난 1월 올해 글로벌 첫 행사로 빠르게 성장중인 튀르키예서 액티언을 론칭하고 시승 행사를 가진 바 있다.

내수는 2676대로 신차 대기 수요로 전년 동월 대비(-28.6%) 감소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16.3% 증가했다.

3월 중 예정된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차의 성공적 출시와 함께 차량 전시, 시승 체험 등이 가능한 '익스피리언스 센터 강남'을 개관하는 등 공격적으로 시장 대응에 나서고 있다.

KGM 관계자는 "수출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신차 출시 예정에 따른 대기 수요로 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는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모델과 상품성 개선 모델의 성공적인 출시와 함께 글로벌 시장 공략 확대와 고객 응대 강화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내수 시장 대응에도 총력을 기울여 판매 물량을 늘려 나갈 것"이라고 했다.

◆ 르노코리아, 총 6099대 판매...전년비 11.3%↓

르노코리아는 2월 내수 4881대, 수출 1218대로 총 6099대의 판매했다.

2월 내수 판매는 실적을 견인한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Grand Koleos)에 힘입어 지난해 2월 대비 170.1% 증가했다.

르노코리아의 스테디셀러 SUV QM6는 지난달 454대가 판매됐다. QM6는 정숙성, 경제성, 주행 안정성 등 그동안 검증 받은 탄탄한 기본기에 지난해 로장주 엠블럼과 디자인 디테일을 가미해 새로운 모델로 거듭난 바 있다.

이어 쿠페형 SUV 아르카나(Arkana) 260대, 중형 세단 SM6 36대, 상용차 마스터 밴 25대 등도 르노코리아의 2월 내수 실적에 힘을 보탰다.

2월 수출은 1218대로 지난해 2월 대비 76% 감소했다. 아르카나 1029대, QM6 188대 등이다. 올해 중순부터 본격적인 수출을 준비 중인 그랑 콜레오스의 사전 교육용 차량 일부도 수출 물량에 포함됐다.

공장 설비 보강 이후 부산공장의 2월 생산 물량은 국내 소비자를 위한 그랑 콜레오스에 우선 집중됐다는 게 르노코리아의 설명이다.

르노코리아의 2월 판매는 부산공장 생산설비 보강작업에 따른 생산 물량 축소에 영향을 받았다. 부산공장은 미래 전기차 생산 기지로의 전환을 위해 지난해 12월 31일부터 올해 2월 2일까지 약 5주 동안 생산 라인 가동을 멈추고 총 68개 설비를 업데이트했다. 이후 지난달 10일부터 생산을 재개했다.

kim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