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AI 시대 스마트폰이 사라진다 ⑩ 칩부터 플랫폼까지 유망주들

기사입력 : 2025년02월22일 07:02

최종수정 : 2025년02월22일 20:01

메타, H/W와 S/W 모두 장악 나서
MS 홀로렌즈 강점은
엔비디아 지배력 지속

이 기사는 2월 21일 오후 1시3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월가는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의 수혜 종목을 크게 네 개 카테고리로 구분한다.

고성능 칩셋과 광학 부품을 중심으로 한 핵심 부품과 콘텐츠 개발 플랫폼 및 솔루션, 게임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네트워크를 포함한 인프라가 여기에 해당한다.

먼저, 고성능 증강현실(AR) 칩셋 분야에서는 기존의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NVDA)와 퀄컴(QCOM)이 유망주로 꼽힌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두고 반도체 및 통신장비를 제조하는 퀄컴은 이미 2023년부터 증강현실(AR) 및 확장현실(XR) 용 차세대 칩셋을 개발해 냈다.

차세대 스마트 글래스를 위해 설계된 스냅드래곤 AR1 1세대를 필두로 스냅드래곤 AR2를 선보인 상태. 스냅드래곤은 퀄컴의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브랜드다.

AR 1세대 칩셋은 증강현실(AR) 기기 중 특히 스마트 글래스에 특화된 제품으로, 카메라 영상 캡처나 실시간 스트리밍, 일림 기능, 인공지능(AI) 기반의 온디바이스 연산 성능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AR2는 증강현실(AR) 공간 컴퓨팅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처음부터 가벼우면서도 무선으로 편리성을 높인 증강현실(AR) 글래스를 위해 설계된 멀티칩으로, 인공지능(AI) 성능을 2.5배 향상시킨 한편 전력 소모를 50% 떨어뜨렸다. 뿐만 아니라 초고속 와이파이 연결성을 갖추고 있어 글래스 사용자들에게 크게 향상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사진=업체 제공]

엔비디아도 차세대 디바이스 시장을 겨냥한 칩셋 개발에 잰걸음이다. 업체는 퀄컴보다 3년 앞선 2020년 증강현실(AR) 칩셋 NVIDIA 맥신(Maxine) AR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출시했다.

해당 칩셋은 인공지능(AI) 기반의 실시간 3D 안면 추적 및 모델링, 웹캠 피드를 통한 신체 자세 추정 기능을 제공한다.

개발자들은 엔비디아의 칩셋을 이용해 얼굴에 3D 콘텐츠를 겹치거나 실시간으로 3D 캐릭터와 가상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등 독특한 증강현실(AR)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퀄컴 스냅드래곤 AR1과 AR2 [자료=업체 제공]

전세계 인공지능(AI) 칩 시장에서 75~90%에 달하는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 엔비디아가 차세대 디바이스 시장에서도 선두를 달릴 것으로 월가는 예상한다.

뿐만 아니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증강현실(AR) 글래스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연초 공개된 특허 신청서에 따르면 글래스는 소위 비간섭 광원을 활용한 정교한 자기간섭 기술을 구현, 기존의 백라이트 방식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에 비해 전력 소모를 대폭 축소한 동시에 부피도 크게 줄였다. 여기에 가림 성능은 한층 강화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엔비디아의 감산 디스플레이 방식이 기존의 가산 방식의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와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다고 설명한다.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메타 플랫폼스(META)와 마이크로소프트(MSFT)가 선두 주자로 지목된다. 이와 함께 유니티 소프트웨어(U)와 오토데스크(ADSK)도 주도주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메타는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해 기존의 퀘스트(Quest) 헤드셋에서 한층 강화된 기술력을 확인시킨 동시에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주도할 가능성을 보여줬다.

업체는 이 같은 하드웨어 측면의 진전과 함께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측면에서도 과감한 투자에 뛰어들었는데, 새로운 하드웨어엣 구동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그리고 그 핵심은 메타버스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거듭해서 2025년 메타버스의 '화려한 컴백'을 예고했다. 지난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 당시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가 빠르게 냉각, 사실상 실패라는 평가를 받은 메타버스 프로젝트에 강한 자신감을 내비친 것.

이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시대에 페이스북이 애플이나 구글의 플랫폼에 종속되는 상황을 경험한 메타가 차세대 컴퓨팅 시대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모두 장악해 플랫폼 지배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해석한다.

아울러 저커버그는 메타버스를 가상현실을 넘어서는 개념으로 본다. 일상적인 증강현실(AR) 경험부터 완전한 가상현실(VR) 현실까지 연결되는 연속체로 접근하고 있다는 얘기다.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는 이 같은 저커버그의 비전을 실현하는 첫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성공 여부는 지켜볼 문제다. 분명한 것은 메타가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면에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섰다는 사실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의 플랫폼을 겨냥하고 있는데 전략은 메타와 다소 상이하다.

업체가 개발한 독립형 혼합현실(MR) 헤드셋 홀로렌즈(Hololens)는 대중적인 소비자보다 주로 기업과 특정 산업 분야를 타깃으로 한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없이 작동하는 완전 독립형 헤드셋은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 환경과 디지털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혼합하며, 공간 매핑과 손 동작 인식, 음성 명령 등 상호 작용 기능을 제공한다.

홀로렌즈는 수술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한 의료 실습, 제조업 부문의 조립 가이드나 원격 지원, 건설 현장에서 3D 설계 검토 및 현장 작업, 교육 분야에서 대화형 3D 학습 등에 적용된다.

때문에 엄밀히 말해 마이크로소프트가 홀로렌즈를 앞세워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에 대중적인 시장을 장악하며 영향력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제품의 기능 이외에 최소 3500달러를 웃도는 가격도 일상적인 사용에 걸림돌로 지적된다. 최근에는 업체가 소비자 버전의 홀로렌즈 개발을 중단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하지만 엔터프라이즈 증강현실(AR) 및 혼합현실(MR) 시장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강점을 지녔다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무엇보다 마이크로소프트 365와 애저 등 기존의 산업용 서비스와 통합될 때 홀로렌즈의 강점일 두드러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 밖에 콘텐츠 시장에서는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업체인 로블록스(RBLX)와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게임을 개발하는 일렉트로닉 아트(EA), 증강현실(AR) 및 3D 콘텐츠 제작 툴을 제공하는 어도비(ADBE), 게임 콘텐츠 제작 업체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TTWO) 등이 유망주로 꼽힌다.

네트워크 인프라 부문에서는 기존의 주도 업체들이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를 이끌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시스코 시스템스(CSCO)가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고, 팰로 알토 네트웍스(PANW)가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의 고성능 네트워크 장비와 아카마이 테크놀로지스(AKAM)의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 역시 차세대 디바이스 시장에서 주류로 활약할 전망이다.

 

shhwa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