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 기록, 국정조사 진술 내용 등 토대로 정황 포착"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박현수 서울경찰청 직무대리 등 경찰 59명이 12·3 비상계엄 사태에 가담했다는 정황이 있다며 군인권센터가 이들을 고발하기로 했다. 군인권센터는 당시 무전 기록과 내란 국정조사 진술 내용 등을 토대로 이 같은 정황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군인권센터는 12일 서울 마포구 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직무대리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회 봉쇄에 관여한 경찰 간부들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는 박 직무대리가 윤석열 대통령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경찰의 국회 봉쇄를 관리·감독한 정황에 관해 설명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계엄에 대해 사전에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박 직무대리의 주장과 달리, 재구성한 타임라인 맥락에 따르면 박 직무대리는 사전에 내란에 관한 정보를 상당 부분 공유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 당일 조지호 경찰청장이 박 직무대리에게 두 번 발신한 점을 그 근거라고 설명했다.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12일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선포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밝히고 있다. [사진=조승진 기자] |
임 소장은 "맥락상 계엄 선포와 관련해 경찰이 부여받은 임무를 마친 후 박 직무대리에게 보고하는 형국이고 박 직무대리가 미리 진척 상황을 보고받기로 한 것이 아니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짚었다.
아울러 계엄 선포가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 국회의원과 시민이 모이던 시각 박 직무대리가 임정주 경찰청 경비국장에게 전화한 일, 국회 전면 통제 지시가 오간 시각 박 직무대리와 임 경비국장의 두 번째 통화가 이뤄진 일, 이외 강상문 영등포경찰서장,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과 통화한 사실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임 소장은 "맥락상 임 경비국장에게 국회에 대한 전면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재차 확인하고자 했던 것"이라며 "박 직무대리는 경찰 지휘부의 결정 사항을 보고받고, 계엄 행동 지침을 조 청장에게 전달하고 다시 그 결과를 이상민 장관에게 보고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인권센터는 비상계엄 선포에 가담한 주요 인물들이 여전히 경찰 주요 간부로 그대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임 소장은 "경찰은 내란죄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하고 관련자들은 국조에 출석해 황당한 거짓말을 늘어놓고 있다. 경찰에 대한 수사가 미진한 틈을 타 요직을 꿰차고 책임을 피해 보려는 술수"라며 "이에 군인권센터는 12월 3일 국회 봉쇄에 관여한 이들을 내란 주요 임무 종사자로 고발할 예정"이라고 했다.
군인권센터는 박 직무대리를 포함한 경찰 지휘부 및 서장 19명, 서울경찰청 기동본부 소속 지휘관 8명, 국회봉쇄 투입 기동대 기동대장 32명 등 총 59명을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군인권센터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박 직무대리의 치안정감 승진과 서울경찰청장 내정을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