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그룹, 임직원에 "딥시크 접속 차단" 공지 전달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국내 유통 대기업이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딥시크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등으로 논란이 불거지자 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조치한 것이다. 정부 부처가 딥시크 접속 차단에 대서 나서자, 유통 기업들도 이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그룹은 이날 임직원에게 "딥시크에 대해 예외 없는 차단을 유지한다"는 내용의 공지문을 전달했다. 이는 국내 유통 대기업 중 '딥시크 접속 제한' 관련 공지를 내린 것은 신세계까 처음이다.
![]() |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
신세계그룹의 경우 민감한 사내 정보의 유출 가능성을 우려해 통상 생성형 AI를 비롯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접속을 제한하되, 예외적으로 업무 연관성이 확인될 경우에 한해 사용을 허용해 왔다. 그러나 이날 공지를 통해 딥시크도 접속 제한 대상에 포함시킨 것이다.
롯데그룹은 딥스크 접속을 차단했다. 사내 정보 보호를 위해 딥시크뿐만 아니라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 플랫폼 접속도 제한하기로 했다. 롯데이노베이트에서 자체 개발한 AI 플랫폼 '아이멤버'에서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상태다.
롯데그룹은 딥시크에 대해 기술 검증을 진행 중으로, 향후 정보 유출 우려가 없음이 확인되는 경우 딥시크 허용 여부를 다시 결정할 계획이다. 쿠팡 역시 딥시크는 물론 챗GPT의 접속을 차단해 놓은 상태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