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지난 몇 년간 제약·바이오 산업은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코로나19 펜데믹 당시 백신과 치료제, 진단키트 등의 개발로 일부 기업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금융과 인프라 등 민간투자를 유도해 산업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대통령 직속의 '국가바이오위원회'도 꾸렸다.
중기벤처부 김신영 기자 |
이같은 관심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제약·바이오 업계는 투심 악화로 한파에 직면했다. 바이오벤처들의 폐업 소식이 들려왔고 자금난에 신약 개발을 포기하기도 했다.
신약 개발에 1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많게는 조 단위의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사업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바이오산업은 현실적으로 '옥석 가리기'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유로 투심은 안전한 기업에게 몰리고 사업 초기 단계에 있는 비상장 바이오벤처들은 외면당하는 실정이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바이오‧의료 분야 신규 투자액은 8844억원으로 전년(1조1058억원)대비 23.1% 줄었다. 바이오투자가 가장 활발했던 2021년(1조6670억원)과 비교하면 신규 투자액이 52.7% 감소했다.
물론 국산 신약이 미국 진출에 성공했다는 반가운 소식도 들려왔다. 유한양행의 폐암 신약 '렉라자'가 대표적이다. 올해도 HLB의 간암신약 '리보세라닙'과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이 FDA 승인을 받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리가켐바이오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등 일부 바이오 기업들의 기술이전 기대감도 크다.
하지만 성과가 입증된 기업에만 투자가 집중된다면 제약·바이오 산업은 성장하지 못할 것이다. 사업 초기 단계에 있는 벤처가 성장해야 산업의 기술적인 다양성이 유지될 수 있다. 시장은 편중되고 기술 혁신의 폭이 줄어들면 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은 악화될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벤처부는 '세계 5대 바이오벤처 강국'이라는 비전을 수립하고 제약·바이오 유니콘 3개 이상을 육성, 오는 2027년까지 바이오벤처 기술수출을 30조원 이상 이뤄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바이오벤처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고 신약개발을 위한 자금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겠다는 내용의 세부적인 계획은 위기에 놓인 바이오벤처들에게 한 줄기 희망이 될지 관심이 모인다.
다만 세부적인 지원책은 그동안 매번 거론됐던 내용과 다를 바 없다는 시선도 있다.
한 바이오벤처 관계자는 "벤처 투자 환경 조성은 결국 얼마큼의 자금을 마련해서 줄 것이냐가 관건"이라며 "중기부가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위한 다리를 놔주더라도, 자금이 없어서 해외에 가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현금성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기술력과 시장성을 입증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고 정부는 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위해 실질적인 지원책을 펼쳐야 할 때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