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 로봇∙ESS 양대 신산업으로 성장 부스팅 '삼화'①

기사입력 : 2024년03월04일 09:04

최종수정 : 2024년03월04일 09:0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지난주 498개 기관 조사연구 진행한 종목
자동차부품+ESS+로봇 3대 인기 테마주
30여년 간의 사업 발전 3단계 과정 분석

이 기사는 2월 26일 오후 3시1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지난주(2월17~23일) 중국 현지 기관들이 가장 주목한 종목은 무엇일까?

지난주 무려 498개 기관이 조사연구를 진행한 종목이 있어 관심이 쏠린다. 그 주인공은 산화지능제어(三花智控∙SANHUA 002050.SZ, 이하 삼화)로 '자동차부품(테슬라 테마주)+ESS(에너지저장)+로봇'의 3대 인기 투자 테마에 연계된 종목으로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기관의 조사연구가 집중되는 종목은 현재 시장이 가장 관심을 보이는 투자 트렌드를 반영하는 것이자 성장잠재력과 투자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 또는 최근 이슈로 인해 투자가치가 조정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종목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 포트폴리오 재편의 참고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춘절(중국의 음력 설) 연휴 이후 상승랠리를 펼치고 있는 중국 본토 A주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투자 키워드는 미국 오픈AI(Open AI)가 개발한 동영상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소라(SORA)'와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AI 섹터로 국내외 기관 투자자들과 해외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는 가운데, 특별히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삼화의 미래 성장성과 투자가치를 진단해 보고자 한다. 

◆ 3단계 발전과정을 통해 확보한 '3대 성장동력' 

삼화는 본래 에어컨∙냉장고∙자동차에 쓰이는 열관리 부품을 개발하는 업체다. 주력 생산품은 에어컨과 냉장고 부품이다.

30여 년의 사업력을 보유한 삼화는 글로벌 업계와의 합작관계를 이어가며 자동차·전력기기·에어컨 업계에서 주문자 생산 방식(OEM) 공급사로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파나소닉, 다이킨, 미츠비시, 도시바, 히타치, 후지츠, 삼성, LG, 캐리어(Carrier), 트레인(Trane), 요크(York), 거리(格力), 메이디(美的), 하이얼(海爾) 등 전세계 굴지 에어컨 생산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맺고 있다. 

2년 전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로봇 산업으로 진출, 양대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 삼화는 에너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래 성장성과 투자가치를 재평가받고 있다. 

① 1단계 '스톱밸브 주축, 업계 리더기업'

1994년 설립 이후 스톱밸브(글로블밸브)를 중심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전자밸브, 전자팽창밸브, 볼 밸브, 사각형밸브, 단방향밸브, 배수펌프 7대 가정용 및 상업용 냉각용 부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해왔다.

특히 주력 생산 제품은 스톱밸브다. 2002~2005년까지 스톱밸브를 통해 창출한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0%를 넘어섰다. 2002년 중국 스톱밸브 시장에서 삼화가 확보한 점유율은 32.1%, 전세계시장 점유율은 13.6%에 달했다.

다음 주력 제품은 부가가치가 높은 에어컨용 전자팽창밸브 및 전자밸브다. 2005년 선전증권거래소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연간 생산량 500만대 규모의 에어컨용 전자팽창밸브 생산 프로젝트, 생산량 200만대 규모의 에어컨용 전자밸브 기술개선 프로젝트 등 전자팽창밸브와 전자밸브 관련 프로젝트에 사용됐다.

② 2단계 '제품라인 확장, 글로벌 기업 인수'

2005년 상장 이후 삼화는 사각형 밸브, 마이크로 채널, 자동차 부품 개발 등에 자금을 투입하며 제품라인 확장에 나선다. 

사각형 밸브가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기준 46%로 늘어난 반면, 기존의 매출 캐시카우(현금창출원)였던 스톱밸브의 비중은 20%로 줄었다.

2010년 들어서는 상용 냉각 부품에 대한 투자를 확대,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조달한 자금 10억 위안을 연간 생산량 1500만개 규모의 상용 냉각 에어컨 자동 모니터링 부품 생산 프로젝트와 350만개 상용 냉각 에어컨 장비 생산 프로젝트 등에 투입한다.

상용 냉각 부품은 주로 대형 상업용 오피스텔, 상점, 호텔, 기계실, 식품 콜드체인(저온유통체계) 등의 다운스트림 업계에 사용된다.

제품 연구개발 및 생산에 직접 투자하는 것 외에 글로벌 기업과의 합작에도 적극 나서면서 전세계 팽창밸브, 전자밸브, 전환밸브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확장한다. 

2007년 삼화는 영국 제조기술 및 에너지 관리 전문기업인 인벤시스(Invensys) 산하의 란코(RANCO)를 인수했다. 인수 후 2011년 기준 4방향 전환밸브의 판매량은 연간 생산량은 6000만대, 글로벌 판매량은 5000만대에 달했다. 

2013년 삼화는 커피머신, 식기세척기, 세탁기 등 가전제품 부품 생산업체로 유럽 시장 점유율은 50%를 차지하고 있는 독일 아웨코(AWECO)를 인수하며 관련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한다. 

2015년 삼화그룹 산하의 삼화첸장발행주식(三花錢江發行股份)은 '항저우 삼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유한공사(이하 마이크로채널)'의 지분 100%를 사들인다. 당시 마이크로채널이 멕시코에서 추진 중이었던 마이크로채널 열 교환기 생산라인 구축 프로젝트에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4억 위안의 자금을 투입한다. 

2014년 기준 열 교환기 시장 점유율 31%를 차지하고 있던 마이크로채널을 인수한 이후 2015년 전체 매출은 62억 위안으로 확대됐고, 그 중 마이크로채널 사업에서 9억 위안 정도의 매출을 창출하게 된다. 전체 매출의 15%를 차지하는 수준이었다. 

2017년에는 삼화친환경에너지발행주식(三花綠能發行股份)이 삼화자동차부품(三花汽零) 부품의 100% 지분을 확보하고, 당시 삼화자동차가 추진 중이었던 연간 생산량 1150만 대의 신에너지 자동차 부품 생산 프로젝트 등에 제3자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투입하며 시장 영향력 확장에 나선다. 

이를 통해 2017년 기준 전체 영업수익(매출)은 96억 위안으로 늘어났고, 그 중 자동차 부품 사업에서 벌어들인 매출이 10억 위안(11%)으로 늘어나며 삼화의 또 다른 캐시카우로 부상했다.  

삼화자동차부품은 2004년 설립됐으며 주로 자동차 에어컨용 열에너지 팽창밸브, 에어컨용 제어기, 온도조절밸브, 자동차용 전자팽창밸브, 전자펌프, 기름펌프, 송수관 밸브, 냉매밸브, 액체저장기, 기름냉각기, 배터리용 냉각기, 냉각판 등의 제품을 주로 생산한다. 2021~2022년 신에너지 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심화자동차부품 또한 고속성장세를 이어왔다.

<[중국 특징주] 로봇∙ESS 양대 신산업으로 성장 부스팅 '삼화'②>로 이어짐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노벨문학상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누구?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올해 노벨문학상은 헝가리의 소설가이자 각본가인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한림원은 9일 오후 8시(한국 시간)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71)를 올해의 수상자로 호명했다. 한림원은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가 "종말적 공포의 한가운데서도 예술의 힘을 재확인시키는 강렬하고 예지적인 작품 세계"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헝가리 작가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 [사진 = 노벨상위원회] 2025.10.09 oks34@newspim.com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헝가리 현대문학의 거장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들은 난해한 문체와 종말론적인 테마로 유명하다. 1954년생인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대학에서 법학과 헝가리문학을 전공하면서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대학졸업후 전업 작가의 길을 택한 그는 1985년 데뷔작인 '사탄탱고'로 문학성을 인정받으면서 명성을 얻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몽골, 중국에서 거주했으며 '저항의 멜랑꼴리'와 '전쟁과 전쟁'을 발표한 이후 미국, 스페인,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생활해왔다. 2015년에는 헝가리 최초로 맨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했고,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의 한 사람으로 거론돼 왔다. '파멸''사탄탱고''런던에서 온 사나이''토리노의 말'등 각본을 쓰기도 했다. 수전 손택은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현존하는 묵시록 문학 최고 거장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사탄탱고'는 공산체제 하에서 무기력하고 비참하고 곤궁하게 살아가는 인간 군상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oks34@newspim.com 2025-10-09 20:47
사진
'국정자원 화재' 1등급 복구율 62.5%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시스템이 709개로 정정됐다. 화재로 멈춘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차장은 9일 브리핑을 통해 화재 관련 상황과 복구 진행현황을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2025.10.09 photo@newspim.com 브리핑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인 엔탑스(nTOPS)의 데이터가 복구돼 대전센터의 전체 시스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부처와 확인 과정을 거쳐 시스템 목록을 709개로 확정했다. 기존에 정부가 공지한 647개에서 62개가 추가된 것이다.  이는 우체국금융, 공직자통합메일과 같은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세분화돼 시스템 수가 증가했고, 온나라문서 시스템은 기관별로 있던 목록이 정부업무관리시스템으로 통합되는 등 목록 변화에 따른 것이다. 현재 목록의 등급별 시스템 수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다.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시스템은 이날 12시 기준으로 193개(27.2%) 시스템이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 40개 중에서는 25개(62.5%)가 복구돼 운영 중이다. 또 이달 말까지 도입 예정이던 장비를 연휴 중 도입해 현재까지 서버 90식, 네트워크 장비 64식 등 198식의 전산장비를 신규로 도입했다. 중대본은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15일 이후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분진 및 화재 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의 시스템은 소관 부처와의 협의 및 세부 검토를 거쳐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할 예정이다. 김 차장은 "5층의 시스템 전체를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것보다 대전센터에서 신속히 장비를 수급하여 복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기술적 판단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대전센터는 5전산실 및 6전산실에 신규장비를 설치해 시스템을 복구하고,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와 소관부처 간의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조속히 이전할 계획이다. gdy10@newspim.com 2025-10-09 14:4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