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3분기 매출 100조, 영업이익 8조 넘어
정의선 신경영 효과 본격화, 미래 내다본 과감한 투자
SDV·자율주행 등 미래기술 주도권에 사활 건다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취임 3년, 현대차그룹이 또 한 단계 발전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가 역대 최고 성적을 이어가며 그룹의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부품·건설 등 주요 계열사들의 선전으로 연간 매출액 400조원을 돌파할 기세다.
바탕에는 정 회장의 수평적인 리더십이 있다. 과거 다소 수직적이며 순혈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던 현대차그룹은 정 회장 체제에서 조직 문화 혁신을 이루고 있다. 단적으로 정 회장은 신입사원과의 대화를 이어가고, 외부의 인재를 과감히 영입해 중책을 맡기는 리더십을 보였다. 여기에 다소 반대가 있어도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와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 과감히 투자하는 등의 선도적 리더십을 보이면서 현대차그룹은 역대 최고의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2023, 재계는] 글싣는 순서
1. 생존·사절단·미래…역대급 바쁜 '총수들'
2.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유 있는 '초격차 기술' 강조
3. 반도체 터널에 돈먹는 배터리...과도기 넘는 최태원 SK 회장
4. "가장 완벽한 통합의 시대 리더십"…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3년 신화
5. 네이버 이해진, AI 글로벌 경쟁 시험대...카카오 김범수, 창사 이래 최대 위기
6. 구광모 LG 회장, 신사업 날개…'위기를 기회로'
7.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뉴롯데' 향한 밑그림 그리기
8. 김승연 한화 회장, 육·해·공 다 갖춘 글로벌 방산기업 도약
9. 최정우의 포스코, 철강 그 이상의 미래 기업으로 변신중
지난 9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대표적 경제협력 거점인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인도네시아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방문했을 당시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
◆상승하는 현대차그룹, 3분기 그룹 전체 매출액 2분기 연속 100조 돌파
현대차·기아 주도 속 건설·부품·철도 등 호조, 체질개선 결과
현대차그룹의 상승세는 현대차와 기아뿐만이 아니다. 현대차그룹 11개 상장사의 올해 3분기 실적의 전체 매출액은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이노션을 제외하고 104조5000억원으로 지난 2분기에 이어 연속으로 100조원을 돌파했다.
시장에서는 현대차그룹의 연간 매출액을 420조원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보다 13% 증가한 수치다. 3분기만 보더라도 현대차그룹의 주요 상장사 영업이익 합산은 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더욱이 올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은 25조9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였던 지난해 23조7000억원을 이미 넘었다. 현대차그룹 전체의 영업이익률은 8%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톱클레스다.
이같은 성장세는 현대차와 기아가 성장세를 이끌었다. 현대차와 기아의 3분기 합산 매출액은 66조5000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6조7000억원이다. 부품과 건설 계열사들도 선전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 6월 사우디에서 6조5000억원 규모의 건설 계약을 체결했고, 현대모비스는 올 3분기까지 핵심 부품 분야에서 85억7000만 달러를 수주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기아 서울 양재동 사옥 [사진=현대차그룹] |
현대로템 역시 호주에서 1조원대 전동차 공급 사업을 수주했다. 현대위아 역시 주요 글로벌 기업과 1조원이 넘는 등속조인트 공급 계약을 맺었다.
현대차그룹의 매출액은 2017년 248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371조7000억원으로 5년간 49.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0조6000억원에서 23조7000억원으로 123.1% 늘었다.
이는 정 회장이 제네시스 등 고급차 위주로 현대차와 기아의 상품 전략을 바꾸고, 전동화 전용 플랫폼을 만들어 자동차의 본산이라고 평가받는 유럽과 미국에서 호평을 받는 등 브랜드 이미지가 크게 개선됐고, 그룹 차원에서도 꾸준히 체질 개선을 시도한 결과라는 평가다.
또한, 외부의 인재를 과감히 영입해 역할을 맡기고 그룹 내부의 분위기도 창의적으로 효율적으로 바꾸는 등의 신경영의 효과가 본격화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정 회장은 가장 완벽한 통합의 시대의 리더십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정도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사진=뉴스핌DB] |
◆ 정의선 리더십, 핵심은 통합·미래 내다본 과감한 투자
전기차 판매 둔화됐지만, 국내에만 24조 미래 투자 이어가
정 회장 리더십의 핵심은 통합·수평과 함께 미래에 대한 과감한 투자에 바탕한다. 정 회장은 그룹 총수에 오르기 전 일부의 반대에도 럭셔리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런칭해 안정화했고, 2021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개발해 아이오닉5, EV6 등을 개발했다.
아이오닉5와 EV6는 높은 상품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각종 상을 휩쓸었다. 현대차그룹은 이들 전기차 모델을 앞세워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선전 중이다.
최근 전기차의 판매가 둔화되면서 글로벌 자동차기업들이 수십억 달러의 전기차 투자를 철회하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은 여전히 미래에 대한 투자를 멈추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울산에 전기차 공장을 설립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응해 미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설립하고 있다. 이처럼 현대차그룹은 국내 전기차 분야에만 2030년까지 총 24조원을 투자하고 총 31종의 전기차 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위 현대차 아이오닉5, 아래 기아 EV6 [사진= 현대차그룹] |
전기차 생산량은 연간 151만대로 확대해 이중 60%인 92만대를 수출하고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도 364만대까지 늘려 2030년 전기차 글로벌 판매 톱3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현대차그룹은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에 사활을 걸고 있다. IT와 미래 모빌리티 관련 인재 채용도 늘리면서 의지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그룹 내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 역할을 하고 있는 포티투닷에 유상증자를 통해 1조원 이상의 금액을 투자했고, 이를 바탕으로 포티투닷은 공격적인 인재 채용을 이어가고 있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로보틱스, AAM(미래항공모빌리티) 등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현대차그룹의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했다.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올해 초 현대차와 기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 다른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도 지난 3월 'BBB+' 등급이었던 현대차와 기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했다.
[사진 현대차] |
◆더 높은 곳 바라보는 현대차그룹, 부진한 중국·러시아 시장 숙제
글로벌 완성차 업체 톱 3를 굳힌 현대차그룹은 이제 더 높은 곳을 바라보고 있다. 내연기관의 가장 빠른 추격자에서 전기차 시대의 선도자가 되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 전망도 좋다. 한 외국계 완성차 관계자는 "전기차 판매 전망이 좋지 않아지면서 현금 흐름을 생각한 여러 업체들이 투자를 줄이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은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지 않나"라며 "앞으로 전기차 시장은 선두격인 테슬라와 현대차그룹을 포함한 몇 개의 선두그룹이 이끌어갈 것"이라고 했다.
다만 현대차그룹이 더 높은 곳을 바라보려면 현재 부진한 중국과 전쟁 장기화로 생산이 사실상 중단된 러시아 시장의 회복이 꼭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중국 정부의 한한령으로 인해 판매가 급감한 이후 현대차는 최근 사업 효율화와 전략 차종 투입을 통해 반격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2023년에는 현지 전략 SUV인 무파사를 내놓았고, 기아는 가성비 전기차 모델인 EV5를 중국에서 먼저 공개하는 등 차별화된 상품성의 전략 모델을 통해 현지 공략에 나서는 모습이다.
러시아 시장은 전쟁 장기화의 영향이다. 지난해 3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현대차 상트페트르부르크 공장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현대차는 러시아 현지 업체를 통해 위탁 생산을 이어왔지만 전쟁 장기화로 부품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중단됐다. 전쟁 전 연간 20만대 안팎을 생산했던 러시아 시장이었지만 최근 판매는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현대차가 미래 자동차 업계의 선도자가 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거대 시장이다. 항상 미래를 내다보는 결정으로 성과를 냈던 정 회장이 향후에도 SDV 등 미래 모빌리티 주도권과 그동안 부진했던 시장 재공략을 어떻게 풀어낼지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