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베이징을 가다] ① 주가 폭등 위드코로나 테마주 북경오리구이 전취덕 <下>

기사입력 : 2022년12월21일 15:02

최종수정 : 2022년12월21일 16:10

유명전통 브랜드 라오즈하오의 맡형
'북경서 전취덕 오리 맛 못면 큰 유감'
중화 제1음식, 외식 500강중 중식 1위
관광 외식 경기의 봄을 알리는 전령사
증시선 연일 상한가, 주식 매물 자취 감춰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중국 음식분야 유명 라오즈하오(전통 브랜드) 취안쥐더(全聚德,전취덕, 002186.SZ) 체인점이 들어서 있는 곳은 대부분 그 장소 자체가 중국 도시의 랜드마크이고 현대 중국의 번영을 상징하는 곳이다.

전취덕은 베이징의 최대 전통 고거리 첸먼(前門)대가 창업 본점 자리에 그대로 첸먼점을 열고 있고, 중국 굴기, 베이징 번영의 또다른 명소인 인근 왕푸징과 하이덴구 올림픽 촌, 상하이 푸동신구 등 요소 요소에 체인점을 두고 있다.

또한 시내 한가운데 선우(宣武)구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카오야 식당 전취덕 허핑먼 점이 둥지를 틀고 있다. 한국인들도 일부 단체 여행 상품으로 베이징에 오면 가끔 들르는 곳이다. 전국 체인점을 모두 합해 전취덕의 문턱을 드나드는 고객 수만 1년에 우리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2000만 명을 넘는다고 하니 오리구이 집 전취덕의 영업 규모가 어느정도인지 짐작할만 하다.

중국 수도 베이징에는 예로부터 세가지 즐거움 '베이징 3락(樂)'이라는 말이 전해져 온다. 중국의 심벌로 여겨지는 만리장성과 베이징의 프로토콜이 응축돼 있는 후통(胡同) 골목, 그리고 베이징 카오야(烤鸭, 베이징 오리구이)가 바로 그것이다. '장성에 오르지 못하고선 사나이라 할수 없고, 전취덕 맛을 못보고 베이징을 떠나면 유감이 아닐 수 없다(不到萬里長城非好漢,不吃全聚德烤鴨真遺憾).' 베이징 사람들이 멀리서 온 사람들에게 전취덕을 꼭 맛보라며 늘상 입에 올리는 말이다.

전취덕은 '중화 제일의 맛'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전취덕은 중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 문화의 일부분으로서 중국을 방문한 수많은 나라의 정상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과거 저우언라이(周恩来) 총리는 국가 연회나 정상 만찬에서 늘 전취덕을 빼놓지 않았다고 한다.

전취덕은 실제로 베이징 뿐만 아니라 전 중국을 대표하는 중국의 으뜸 음식이다. 중국의 음식 업체 500강 기업중에서 전취덕은 당당히 중식 분야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1999년 중국 국가공상총국으로 부터 서비스분야 최초로 유명 상표(驰名商标) 칭호를 받은 진정한 중화 라오즈하오다.

최근 전취덕은 창업 연대인 '1864'랴는 상표로 구이저우성 마오타이진에서 장향형 백주를 위탁생산 판매하고 있다. 전취덕 그룹 산하의 가족기업은 모두 100개에 달하며 전자상거래 시대를 맞아 최근엔 가정과 사무실 등 온라인 배달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전취덕은 2022년 1~3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1억 7500만의 위안의 결손을 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162%가 넘는 손실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최근 주가가 폭등세를 보이는 배경에는 브랜드 내재가치와 관광 외식 소비테마 종목으로서 위드코로나에 따른 향후 실적 개선 기대감이 강하게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첸먼대가에 들어선 전취덕 첸먼점. 2022.12.21 chk@newspim.com

2022년 12월 18일 오후 전취덕이 있는 첸먼대가 중심 거리와 양 옆으로 거미줄 처럼 펼쳐지는 후통 거리의 표정을 살펴 보니 일주일 전 보다는 행인들의 발길이 늘어난 모습이다. 아직은 미열이 이지만 위드코로나가 시작되면서 첸먼대가 소비경제에 점차 온기가 들어오고 있다는 느낌이다. 위드코로나 시행 직후의 단기 감염 확산 풍파가 지나가고 세모와 새해초가 되면 지금보다 소비 열기가 더 달아오를 것으로 보인다. 

전취덕 첸먼점을 지나자 마자 첸먼 대가 양쪽 편으로 왼쪽에는 셴위커우 (鲜鱼口)미식거리, 오른쪽으로 다짜란(大栅栏) 후통 거리가 이어진다. 다짜란 후통 골목쪽에는 동인당과 전취덕 같은 베이징 전통 오리구이 전문 체인인 스지민푸 음식점이 두개나 들어서 있다.

다짜란의 반대쪽 센위커우 미식거리에는 루주와 자장면, 탕후루 등 베이징의 오래된 전통 음식과 베이징식 스낵 과자 등 각종 먹거리를 파는 식당들이 가득 들어서 있다. 미식거리가 거의 끝나는 지점에 큰 길이 나오는데 왼쪽을 보니 웅장한 모양의 중국 전통 건축물이 눈에 들어온다.

건물 정면을 쳐다보니 비옌이팡이라는 이름의 식당 이름 현판이 붙어있다. 비옌이팡은 라오베이징(老北京, 수대를 살아온 베이징 토박이)들이 전취덕 이상으로 높게 평가하는 베이징 전통 오리 구이 음식점이다.

출입구에는 정상 영업을 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48시간 핵산검사 음성증명서를 요구하길래 캡처해 준비해놓은 것으로 보여줬더니 대충 보고 들여보내준다. 점심시간도 지나고 배도 출출하길래 오리구이 맛도 즐길 겸 반마리를 주문했다. 전취덕 보다는 맛이 담백한 것 같았다.

"전취덕 오리구이는 걸어서 불을 쪼여 익히는 방식인데 비해 비옌이팡 오리구이 기예(技藝)는 밀폐된 화덕 안에서 넣어 구어내는 비빕입니다. 비엔이팡은 전취덕 보다 200여년 더 오래된 4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지요." 매장 관계자는 진정한 베이징 오리구이 매니아들은 비옌이팡만 찾는다고 자랑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베이징의 전통 상업거리 첸먼 대가 거리 모습. 2022.12.21 chk@newspim.com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